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평창 석두산 전투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가수호사적지
운동계열분류 재반격작전
종류 산야
상태 원형보존 / 6·25전쟁 당시의 원형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정의 1951년 3월 2일 국군 수도사단 제1기갑연대 제2대대가 속사리 진출을 위한 교두보 확보를 위해 북한군 1개 대대를 공격하여 고지를 점령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51 미 제8군의 ‘격멸작전(Operation Killer)’
관련 조직 국군 수도사단 제1기갑연대 제2대대 
관련 인물 유재흥, 송요찬, 김동수, 박익균
관련 내용 평창 석두산 전투는 1951년 3월 미 제8군의‘격멸작전(Operation Killer)’기간 중 국군 수도사단 제1기갑연대 제2대대가 북한군을 공격한 전투이다. 제2대대는 북한군의 퇴로 차단을 위해 속사리로 진출하던 중 북한군의 주요 방어거점인 석두산을 공격해 북한군 1개 대대를 격퇴하고 고지를 점령하였다.

1951년 공산군의 2월 공세로 지평리와 원주 일대에서 아군이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되자 미 제8군사령관은 제천 북쪽 부근에 돌파구를 형성한 적을 포위섬멸하기 위한 ‘격멸작전’을 계획하였다. 태백산맥의 서쪽 산악지대를 담당하게 된 국군 제3군단은 오대산을 중심으로 수도사단과 제7사단을 각각 동쪽과 서쪽에서 공격하게 하였다.

수도사단은 횡계리에 대기 중이던 제1기갑연대를 공격에 투입하였다. 제1기갑연대는 1951년 3월 1일 제1대대와 제2대대를 경강국도 상의 북쪽과 남쪽에서 각각 속사리 방면으로 공격을 개시하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3월 2일 제2대대가 북한군 1개 대대가 방어 중이던 석두산을 공격, 치열한 교전 끝에 이를 점령하는데 성공하여 속사리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하였다.
참고 문헌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맹호사』, 1981, 170-177쪽.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5, 1972, 560-579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주소 강원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산 11-13 일대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맹호사』170-177쪽에 의하면, 미 제8군의‘격멸작전(Operation Killer)’기간 중 국군 수도사단 제1기갑연대 제2대대가 1951년 3월 2일 석두산에서 1개 대대 규모의 북한군을 격퇴하고 고지를 점령했음이 확인된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