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춘천 원창고개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초기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원형보존 /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
| 정의 | 북한군의 남침 직후 춘천지역 방어를 담당한 국군 제6사단 제7연대가 1950년 6월 27일 북한군 제12사단 제31연대의 포위 공격을 백병전으로 격퇴하고 북한군의 남진을 방어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0 춘천전투 |
|---|---|
| 관련 조직 | 국군 제6사단 제7연대 제2대대, 북한군 제12사단 제31연대 |
| 관련 인물 | 김종오, 임부택, 김종수 |
| 관련 내용 |
춘천부근 원창고개 전투는 국군 제6사단 제7연대가 춘천-홍천간 5번 도로를 따라 남진하는 북한군 제12사단 제31연대의 포위 공격을 백병전으로 격퇴해 북한군의 남진을 일시 지연시킨 전투이다. 북한군은 남침시 춘천방면으로 제2사단을 홍천방면으로 제12사단을 투입시켰다. 1950년 6월 27일 북한군 제2사단은 춘천을 점령한 후 계속해서 홍천 방면으로 남하하였다. 이때 국군 제6사단은 전선 조정을 위한 육군본부의 지시에 따라 홍천으로 철수 중에 있었다. 28일 12:00에 제7연대는 주력의 철수를 엄호하기 위해 제2대대를 원창고개 일대에 배치하였다. 원창고개는 표고 500~600m의 능선이 횡격실을 이루고 있고 북쪽으로 급경사를 이르며 고개부근의 굴곡이 심해 방어에 대단히 유리한 지형이었다. 북한군 제31연대는 29일 06:00부터 연대 규모의 병력을 투입해 원창고개 점령을 시도하였다. 제2대대는 파도처럼 밀려오는 북한군을 최대한 기다렸다가 최후 방어사격 거리에 접근했을 때 일제히 사격을 가해 적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이날 11:00경까지 수 차례의 적 공격을 저지한 제2대대는 항복을 가장한 북한군의 기만전술에 당하여 일순간에 진지가 붕괴되면서 홍천으로 철수하였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2, 2005, 483-486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130-140쪽. 전사편찬위원회,『 38도선초기전투-중동부전선편』, 1982, 1-10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강원도 춘성군 신동면 사암리 |
|---|---|
| 주소 | 강원 춘천시 동내면 사암리 1250 일대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6·25전쟁사』2권 483-486쪽에 의하면, 1950년 6월 28일 국군 제6사단 제7연대가 원창고개에서 백병전까지 전개하면서 북한군 제12사단 제31연대의 진출을 일시 저지했음이 확인된다. |














원창고개 정상(춘천에서 홍천 방면)
원창고개 옛길(춘천 방면)
홍천에서 춘천 방면의 원창고개
원창고개 옛길(홍천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