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춘천 고시락고개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초기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원형보존 /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
| 정의 | 1950년 6월 25일 국군 제6사단 제7연대 제3대대의 38선 경계진지 전투지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춘천 전투, 홍천 전투 |
|---|---|
| 관련 조직 | 국군 제6사단 제7연대 제3대대, 북한군 제2사단 제6연대 제2대대 |
| 관련 인물 | 김종오, 임부택, 인성관 |
| 관련 내용 |
고시락고개 전투는 1950년 6월 25일 국군 제6사단 제7연대 제3대대의 38선 경계진지 전투로 화천에서 가평으로 진출하려던 북한군 제2사단 제6연대 제2대대 병력에 맞서 싸운 전투이다. 북한군의 남침 당일 중동부지역의 요충인 춘천 북쪽에는 북한군 제2군단 예하의 제2사단이 배치되어 춘천과 가평을 점령하였다. 북한군은 그후 서울 동남쪽으로 진출하여 국군의 증원을 차단하고 제1군단의 좌측방을 엄호한다는 계획하에 계속 남진하였다. 북한군은 제6연대를 주공으로 춘천과 가평 방면으로 공격하게 하고, 제4연대를 조공으로 하여 춘천 동북방으로 남하하게 하였다. 북한군 제2사단의 주공부대인 제6연대는 1개 대대를 화천 - 가평 축선에 투입해 고시락고개-지암리에 있는 국군 방어진지를 돌파하고 가평방면으로 진출토록 하였다. 이에 국군 제6사단 제7연대 제3대대는 마평교 인근의 고시락고개(고시령)에서 지형적인 이점을 이용하며 북한군의 공격을 둔화시킨 후 홍지기고개(홍적령) 등에서 지연전을 전개, 북한군의 진격을 3일간 저지한 후 6월 27일 금곡으로 철수하였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2, 2005, 476-481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130-141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 원평리 |
|---|---|
| 주소 | 강원 춘천시 남산면 수동리 102 일대 |
| 도로명 주소 |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동촌로 474 일대 |
| 위치 고증 | 『6·25전쟁사』2권 476-481쪽에 의하면, 북한군 제2사단 제6연대 제2대대의 공격에 맞서 국군 제7연대 제3대대가 춘천 마평교 인근 고시락고개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음이 확인된다. |














북한군이 고시락고개를 점령하기 위해 남하한 마평교(북쪽). 정면에 보이는 고지군에 국군이 배치되어 있었다.
원평리 38선 표지석(전경)
남쪽에서 북쪽을 바라본 마평교(원평리 38교)
원평리 38선 표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