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가산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낙동강방어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멸실 / 전쟁 당시의 모습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
| 정의 | 1950년 9월 2일부터 국군 제1사단이 북한군 제1사단과 제13사단의 강력한 공격을 받아 7차례나 뺏고 빼앗기는 쟁탈전을 반복하면서 방어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다부동 전투, 천평 전투 |
|---|---|
| 관련 조직 | 국군 제1사단, 미제1기병사단, 북한군 제1사단 |
| 관련 인물 | 백선엽, 킨, 최광 |
| 관련 내용 |
가산(902고지)은 대구 북쪽 16㎞에 위치한 중요한 감제고지로써 다부동 - 구간 도로와 대구까지도 감제할 수 있어 전술적으로 중요하였다. 1950년 8월 29일 미 제8기병연대가 국군 제1사단으로부터 가산지역을 인수받고 방어진지를 보강하고 있었다. 1950년 9월 2일 새벽 북한군은 전 전선에서 9월공세를 개시하였다. 북한군 제1사단도 가산일대로 공격을 집중하여 결국 미 기병연대는 다음날 가산을 적에게 내어주고 말았다. 대구를 직접 위협하는 가산의 가치를 잘 알고 있던 미 제8군사령관 워커 중장은 이날(9월 3일) 미 제1기병사단장 게이 소장에게 즉시 가산을 탈환하도록 명령하였다. 이에 다음날인 9월 4일 아침 미 제8야전공병대대가 기성동에서 가산을 목표로 공격을 개시하였다. 가산을 점령한 적은 북한군 제1사단 제14연대 주력이었다. 미 공병대대는 4일부터 미 항공기의 강력한 지원을 받으며 목표지점을 공격하며 치열한 교전을 수행하였으나 가산 점령에는 실패하였다. 더욱이 북한군 제1사단과 제13사단이 9월 6일 다부동 4.5㎞ 남쪽 도로를 봉쇄하고 대구에 이르는 도로를 감제할 수 있는 570고지 마저 점령하여 더욱 가산 일대로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570고지는 대구 북쪽 12㎞지점에 있었기 때문에 유엔군의 입장에서는 큰 위협이었다. 9월 10일 미 제1기병사단은 예하 부대를 대구 동쪽 측방에 배치하여 북한군의 공격을 저지하였다. 이 무렵 북한군은 대구로 침공할 준비를 갖추었으나 기병사단이 항공기의 지원 하에 적극적으로 방어함으로써 더 이상 진출하지 못하도록 방어하였다. 기병사단은 곧이어 아군의 낙동강 방어선에서의 반격작전 명령이 하달되자, 가산성지를 비롯하여 가산 일대를 탈환함으로써 반격의 실마리를 확보하였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5, 2008, 206-209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353-357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
|---|---|
| 주소 | 경북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산 98-1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6·25전쟁사』5권에 의하면, 국군 제1사단이 1950년 9월 2일부터 9월 10일까지 가산일대에서 북한군 제1사단과 제13사단의 공격을 방어하여 격렬한 전투를 수행하였음이 확인된다. |














가산지구 전투, 1950. 9. 2.~15.(전쟁기념관 홈페이지)
가산산성 우측 능선
가산산성 전경
가산산성 좌측 능선
가산산성 정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