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나주의병 봉기지 - 나주향교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의병전쟁
종류 건물
상태 복원 / 1900년대부터 일제시기를 거쳐 훼손되었고, 1959년 동·서재를 중건, 1980년 명륜당과 동·서익당 보수, 1981년에 대성전 및 동·서재를 보수하였다.
정의 1896년 기우만이 이끄는 장성의병이 나주로 이동하여 집결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896 전기의병
관련 조직 나주의병, 장성의병, 호남대의소, 나주의소 
관련 인물 기우만, 이승수, 이학상
관련 내용 나주의병의 결성은 장성의병의 움직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896년 음력 정월 기우만(奇宇萬)은 나라를 위한 거의를 도모하였다. 이 과정에서 기우만의 격문이 나주향교에 전달되자, 나주의 양반유생들과 향리들은 기우만의 격문을 관내에 즉시 전달한 후 음력 2월 1일 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향교의 동재에서 집회를 열었다. 음력 2월 2일 나주유생 이승수(李承壽) 등이 중심이 되어 전 주서 이학상(李鶴相)을 의병장으로 추대하였다. 이어 음력 2월 4일 나주의 유생들은 기우만의 창의를 지지한다는 답통을 장성에 보냈다. 아울러 조관(朝官)·유림·향리·군교 등이 연합하여 의병봉기에 적극 호응하기로 합의하였다.

2월 11일 기우만이 이끄는 장성의병이 나주로 이동하여 나주향교에 집결하였다. 기우만이 이끄는 장성의병은 ‘호남대의소(湖南大義所)', 이학상을 의병장으로 하는 나주의병은 ‘나주의소(羅州義所)'라 하기로 하고, 군사를 모아 북상할 준비를 하였다. 당시 전국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자 정부에서는 선유사(宣諭使)를 파견했는데, 호남지역에도 선유사 신기선(申箕善)이 파견되어 이들의 해산을 종용하였다. 장성의병은 광주 광산관으로 이진하여 해산하였으며, 나주의병 역시 관군이 파견되자 2월 26일~27일에 해산하였다.
참고 문헌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3-의병항쟁사자료집, 1971, 67쪽.
홍순권, 『한말 호남지역 의병운동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111-116쪽.
홍영기, 『대한제국기 호남의병 연구』, 일조각, 2004, 133-138·145-146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전라남도 나주군 나주읍 향교리 32-2
주소 전남 나주시 향교길 38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李炳壽,『錦城正義錄』丙編3에 기우만의 격문을 받고 나주향교의 동재에서 집회를 열었다는 기록이 있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