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평택 지제리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지연작전 |
| 종류 | 기타 (비행장) |
| 상태 | 원형보존 / 경부철도와 1번국도는 개량되었으며, 지제·칠괴동 고지는 전쟁 당시와 크게 변하지 않았다. |
| 정의 | 1950년 7월 6일 미군 제24사단 34연대가 평택 칠괴리와 지제리 일대에서 북한군의 진출을 저지하기 위해 전투를 수행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0 오산 죽미령 전투||1950 오산 갈곶리 전투 |
|---|---|
| 관련 조직 | 미 제24사단 34연대 |
| 관련 인물 | 딘 소장, 아이레셔 중령, 라브리스 대령, 바스 준장 |
| 관련 내용 |
미 지상군 참전이 결정된 후 1950년 7월 4일 미 제24사단장 딘(William F. Dean) 소장은 제34연대 1대대를 우선 평택으로 이동시켜 저지진지를 확보하도록 조치하였다. 이에 따라 일본 큐슈를 출발해 7월 2일 부산에 도착한 제1대대는 7월 5일 새벽 5시경에 평택에 도착하여 경부철도와 국도를 중심으로 양측에 있는 칠괴리(평택 북쪽 3㎞)와 지제리(칠괴리 서쪽 2㎞) 일대에 방어진지를 구축하였다. 7월 6일 새벽 5시 남진을 시작한 북한군 제105전차사단의 선두전차는 전날 미군이 북한군의 남하를 지연시키기 위해 폭파시킨 교량에 이르러 전진을 멈추었다. 그 뒤로는 13대의 전차가 줄을 지어 늘어섰다. 북한군 전차병이 교량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전차 밖으로 나오자 제1대대가 사격을 가하면서 교전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북한군의 공격이 강해지면서 제1대대장 아이레서 중령은 오전 9시를 기해양 중대에 철수명령을 하달하였다. 이후 평택의 제1대대 지휘소는 물론 안성의 제3대대 병력과 성환의 연대 지휘소 역시 천안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3, 2005, 377-380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211-213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평택군 평택읍 지제리 일대 |
|---|---|
| 주소 | 경기 평택시 칠괴동 지제동 248 일대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6·25전쟁사』를 통해 1950년 7월 6일 평택 칠괴리와 지제리 일대에서 미군과 북한군이 전투를 수행한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378쪽의 전투 상황도를 통해 현재의 위치를 비정할 수 있었다. |














미 제34연대 1대대의 방어선이었던 지제-칠괴동 사이의 경부선과 1번 국도
B중대가 있었던 칠괴동측 고지
34연대 1대대 A중대가 방어선을 구축했던 지제동측 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