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천덕산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고지쟁탈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전쟁 당시의 원형이 변형되어 당시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주변 고지는 전쟁 당시의 고지쟁탈전이 수행되었던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
| 정의 | 1951년 10월 3일 미 1군단이 코만도 작전에서 천덕산 점령 임무를 띠고 공격을 개시하여 수 차례의 공방전 끝에 고지를 확보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1 코만도 작전 |
|---|---|
| 관련 조직 | 미 제3사단 |
| 관련 인물 | |
| 관련 내용 |
휴전회담이 개막된 이래 전선에서는 양측간에 서로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려는 고지쟁탈전이 전개되었다. 1951년 10월 미 제1군단은 서부전선에서 추계공세를 실시할 계획을 수립하고 코만도(Comando) 작전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이 작전은 연천 일대에 이르는 군단방어선을 역곡천까지 약 10km 정도 전진하여 그곳에 새로운 방어선을 구축한다는 것으로 천덕산은 그 목표 중 하나였다. 미 제1군단의 특공작전은 10월 3일 새벽 약 1시간의 공격준비사격에 이어 오전 6시 각 사단 진출선에서 일제히 개시되었다. 미 제3사단 역시 공격을 개시하여 사단 수색중대가 중어성 남쪽 도로 교차점까지 점령지역을 확대하였고, 우익 제65연대가 철원평야의 284고지와 중가산 일대까지 일부 부대를 추진 배치하여 제임스타운선(Jamestown line)을 점령하였다. 좌전방 제15연대는 야월산을 무혈점령하고, 천덕산을 공격하였다. 다음날인 10월 4일도 중공군 완강한 저항으로 격전이 전개되었다. 미 제3사단은 이틀째 공격에서 같은 고지를 점령하였으나 중공군의 역습에 의해 다시 피탈당하기도 하였다. 10월 5일에 들어서 천덕산을 점령한 미 제13사단은 6일에는 중공군의 저항이 없는 가운데 방어진지를 구축하였다. |
| 참고 문헌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하, 1997, 187-188쪽.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9, 2012, 518-526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마전리 |
|---|---|
| 주소 | 경기 연천군 신서면 마전리 산163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하권에 의하면, 미 제3사단이 1951년 10월 3일부터 6일까지 천덕산을 공격하여 확보하였으며 그 후 몇 차례 중공군의 공격을 격퇴하고 천덕산을 확보하였음이 확인된다. |














천덕산 고지 전경
천덕산 정상
천덕산 고지 전경
천덕산 고지 접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