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인제 서화리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재반격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원형보존 / 서화리, 천도리 일대의 고지군이 원형 그대로 남아 있다. |
| 정의 | 1951년 6월 4일-12일 국군 제5사단이 신캔사스선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북한군 제2사단이 점령한 지역을 공격하여 탈환작전에 성공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중공군 제5차 공세, 38도선으로의 추격작전 |
|---|---|
| 관련 조직 | 국군 제5사단, 북한군 제2사단 |
| 관련 인물 | 민기식 |
| 관련 내용 |
유엔군은 중공군의 제5차 공세직후 전 전선에 걸쳐 반격작전을 전개하여 38도선을 확보하는데 성공하였다. 서화리전투는 유엔군사령부가 캔사스선을 확보하고 이를 방어하기 위한 핵심지역들을 점령하는 과정에서 국군 제5사단이 1951년 6월 4일부터 12일까지 치룬 전투이다. 1951년 6월 미 제10군단 소속의 국군 제5사단은 후덕리 - 981고지 - 산두곡산을 연하는 신캔사스선을 목표로 공격작전을 펼치게 되었다. 6월 4일 제27연대가 좌측에서, 제36연대가 우측에서 각각 981고지와 산두곡산을 목표로 공격을 개시하였다. 당시 북한군 제2사단은 국군 제27연대 정면의 논장리-천도리 축선에 병력을 증강하면서 지연전을 시도하였다. 이에 국군 제5사단은 예비인 제35연대를 천도리 일대에 투입하여 적의 퇴로와 증원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6월 12일 국군 제5사단은 제27연대가 정면에서 그리고 제35연대가 우측방에서 공격을 가해 8일 동안 천도리 일대의 저지진지를 고수하고 있던 북한군 제2사단 제4, 제6연대를 물리쳤다. 이를 계기로 제5사단은 6월 17일 신캔사스선으로 진출하였다. |
| 참고 문헌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중, 1996, 636-640쪽.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9, 2012, 272-273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천도리 |
|---|---|
| 주소 | 강원 인제군 서화면 천도리 산 77 일대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중권 636-640쪽에 의하면, 국군 제5사단이 서화리 일대에서 교전을 벌였음이 확인된다. |














서화리 - 향로봉 전투(1951. 6. 4~6. 17)
서화리 앞을 지나는 453번 도로(남쪽 방향)
천도리로 향하는 산악로 입구
서화리 앞을 지나는 453번 도로(북쪽 방향)
서화리 동쪽 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