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연천·철원지역 의병의 주둔지 - 심원사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 국내항일운동사적지 |
---|---|
운동계열분류 | 의병전쟁 |
종류 | 건물 |
상태 | 복원 / 의병운동 당시의 사찰은 소실되었고, 한국전쟁 때 재차 소실되었다가 2000년 심원사라는 이름으로 복원되어 현재에 이른다. |
정의 | 1907년 연천·철원지역의 의병이 주요 거점으로 삼고 주둔했던 곳 |
관련정보
관련 사건 | 연천의병 |
---|---|
관련 조직 | |
관련 인물 | |
관련 내용 |
심원사(深源寺)는 한말 연천·철원지역 의병이 주요 거점지로 삼아 활발한 전투를 전개한 사찰이다. 1907년 9월 25일 의병 800여 명이 철원 심원사에 주둔하자 정보를 입수한 일제 김화수비대는 심원사 일대 각 방면을 포위한 채 공격하였다. 26~27일에 걸쳐 의병들은 일본군과 법화동과 대광리에서 전투를 벌였는데, 화력의 열세로 피해를 입었다. 같은 해 10월 17일에는 심원사에 있던 의병 300여 명이 일본군의 습격을 받고 후퇴하였다. 일본군은 의병의 은거지인 심원사에 불을 질러 전소시켜 버렸다. |
참고 문헌 |
「조선폭도토벌지」, 『독립운동사자료집』 3-의병항쟁사자료집, 1971, 666·702·710-711·757쪽. 『고종시대사』 6, 1907년 10월 17일조. 연천군지편찬위원회, 『연천군지』, 연천군, 2000, 366~367쪽. 원심원사 홈페이지(http://www.wonsimwonsa.org). |
지역정보
당시 주소 | 강원도 철원군 신서면 내산리 |
---|---|
주소 |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동내로 970번길 32-268 |
도로명 주소 | |
위치 고증 | 「조선폭도토벌지」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조선총독부 발행 1:50,000 지형도에 연천에서 성주암에 이르기 전 왼쪽 산록에 심원사가 표시되어 있어 현재 복원 중인 심원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심원사는 현 원심원사이며, 원심원사 홈페이지에서도 관련 사실을 확인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