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광주 산동교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지연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옛 산동교는 일부 보존되고 있으며, 인근에 공원이 조성되었다. |
| 정의 | 1950년 7월 23일 군경합동부대가 북한군의 광주점령을 막기 위해 첫 전투를 벌였던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호남지역작전 |
|---|---|
| 관련 조직 | 국군 제5사단, 북한군 제6사단 |
| 관련 인물 | 이형석, 방호산 |
| 관련 내용 | 북한군의 남침직후 호남지역에 방어병력이 없는 상황에서 북한군 제6사단이 호남지역으로 진출하였다.1950년 7월 23일 국군 제26연대 공병대가 새벽 4시에 북한군의 광주 진출을 지연시킬 목적으로 산동교를 폭파하였다. 국군은 임시로 군경합동부대를 편성하여 교량에서 광주 쪽으로 약간 떨어져 있는 산등성이에 방어진지를 편성했다. 오전 11시 30분경 북한군 제6사단 병력 일부가 탱크 3대를 앞세우고 산동교에 이르렀을 때, 군경합동부대는 2.3인치 로켓포를 발사했으나 탱크는 꿈적도 안했다. 군경부대는 1시간 동안 저지하다가 그들의 화력에 밀려 후퇴함으로써 광주 방어는 사실상 실패하고 말았다. 실제 방어병력이 전혀 없는 전남지구편성관구 이응준 사령관과 제5사단 이형석 대령 등은 보성을 경유, 순천으로 후퇴했다. 전투과정에서 김홍희 총경이 전사했고, 장명규 경감은 다리를 잃는 중상을 입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2, 1979, 768쪽. 광주시사편찬위원회,『 광주시사』3, 광주시, 1995, 177쪽. 군사편찬연구소, 『 6.25전쟁사』4, 2008, 475-480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전라남도 광주군 극락면 운암리 |
|---|---|
| 주소 | 광주 북구 동림동 122-4 일대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사』2권에 의하면, 군경합동부대가 산동교에서 광주 쪽으로 약간 떨어져 있는 산등성이에 포진하여 탱크 3대를 앞세우고 진격하는 북한군 제6사단 병력을 1시간 동안 저지하다가 후퇴한 사실이 확인된다. |














전쟁 당시 산동교(광주시,『 사진으로 본 광주 100년』, 1989, 81쪽)
옛 산동교 표석
옛 산동교 교각
옛 산동교
옛 산동교 위에서 바라본 정읍 방향
옛 산동교에서 바라본 영산강 지류와 산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