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율동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철수방어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고지는 거의 그대로 남아있지만, 주변 모습은 많이 변하였다. 전투지 부근에 ‘비율빈(필리핀)참전비’가 세워져 있다. |
| 정의 | 1951년 4월 22일 중공군 춘계공세시 필리핀 제10연대전투단이 미 제3사단에 배속되어 연천 북방에서 중공군 제34사단과 전투를 치른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1 중공군 춘계공세 |
|---|---|
| 관련 조직 | 필리핀군 제10연대전투단, 중공군 제34사단 |
| 관련 인물 | |
| 관련 내용 |
율동전투는 1951년 4월 필리핀 제10연대전투단이 미 제3사단에 배속되어 연천 북방에서 중공군 제34사단과 치른 전투이다. 4월 22일 야간에 중공군의 춘계공세를 맞이한 필리핀 대대는 우인접부대가 돌파되고, 대대의 우측중대와 중앙중대의 일부진지가 돌파되어 대대본부지역까지 중공군이 침투하였으나 끝까지 진지를 고수하여 우인접부대의 철수를 성공적으로 엄호하였다. 제10대대전투단은 그 후 유엔군사령부의 철수명령에 따라 후방으로 철수하였다. 전쟁 당시 필리핀은 지상군 1개 대대를 파견하였다. 전쟁 발발 당시 독립국가로 출발한 지 3년밖에 안된 필리핀이었지만 육군 제10대대를 중심으로 제10대대전투단을 편성하여 1950년 9월 20일 부산에 입국하였다. 필리핀 대대전투단은 10일간의 현지 적응훈련을 마친 후 미 제3사단에 배속되어 유엔군의 반격작전 및 철수작전 기간 중 주로 후방지역 방어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재반격작전이 시작된 후인 1951년 3월부터는 전방작전에 투입되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전사편찬연구소,『 한국전쟁사』10, 1979, 69-70쪽. 군사편찬연구소,『 한국전쟁』중, 1996, 517-520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연천군 연천면 상리 |
|---|---|
| 주소 | 경기 연천군 연천읍 상리 산213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사』10권에 의하면, 1951년 4월 22일 필리핀 제10연대전투단이 미 제3사단에 배속되어 연천 북방 율동에서 중공군 제34사단의 춘계공세를 맞아 끝까지 진지를 고수하였음이 확인된다. |














필리핀군이 참전하여 전투를 벌였던 상리 율동고지 모습들
율동 고지에 세워진 필리핀군 참전비 주변
필리핀군이 참전하여 전투를 벌였던 상리 율동고지 모습들
비율빈(필리핀)참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