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영덕 북방 208고지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지연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원형보존 / 전쟁 당시의 모습이 훼손되지 않고 대부분 보존되어 있다. |
| 정의 | 국군 제3사단이 영덕을 탈환한 후 북한군 제5사단 예하부대의 공격을 받아 백병전까지 거듭되는 공방전을 치루면서 사수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울진 전투, 영덕 전투, 포항 전투 |
|---|---|
| 관련 조직 | 국군 제3사단, 북한군 제5사단 |
| 관련 인물 | 이준식, 마상철 |
| 관련 내용 |
국군 제3사단 제23연대는 1950년 7월 16일 영덕 북쪽 4㎞지점에서 방어진지를 편성해 북한군 제5사단과 대치하였다. 그러나 다음날 북한군의 야간기습을 받고 어이 없이 영덕을 상실하고 말았다. 이후 양측은 영덕을 차지하기 위해 많은 희생을 치루면서 공방전을 전개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사단장 이준식 준장의 작전 복안은 제22연대에게 현 위치를 고수하게 하고, 제23연대로 하여금 영덕을 탈환한 후 그 여세를 몰아 180고지(화수동) - 208고지(화수동 서쪽 1.5㎞) 선까지 진출하게 하였다. 그리고 208고지(영덕 서쪽 1.5㎞)에서 오십천 서측 연변을 방어 중인 독립 제1대대로 하여금 320고지(일명 삿갓봉, 208고지 서쪽 2.8㎞)까지 진출하여 북한군의 측방 공격을 견제하도록 했다. 7월 29일 새벽 6시, 국군 제23연대는 유엔 해·공군의 화력지원 하에 공격을 개시하여 오전 8시에 영덕을 탈환하고 계속해서 최종 목표인 220고지 - 180고지로 진출해 그 일대에 방어진지를 편성하였다. 그러나 이날 밤 제23연대는 북한군의 야간공격을 받아 다시 공격개시선으로 철수하게 되었으며, 다음날(30일) 새벽 제22연대가 재차 공격을 개시해 영덕을 탈환하는데 성공하였다. 영덕을 중간에 두고 국군 제3사단과 북한군 제5사단은 백병전이 거듭되는 공방전을 전개하였으며, 국군 제3사단은 8월 2일 마침내 220고지 선을 확보하게 되었다. 8월 3일 국군 제3사단은 2개 연대를 모두 일선에 투입하여 화림산 - 정동 선상에 방어선을 형성하였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5, 2008, 546-550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271-275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신애리 |
|---|---|
| 주소 | 경북 영덕군 지품면 신애리 산74번지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6·25전쟁사』4권에 의하면, 국군 제3사단이 1950년 7월 16일부터 8월 5일까지 영덕 서쪽 208고지 일대에서 북한군 제5사단의 공격을 방어하여 영덕 일대를 성공적으로 방어하였음이 확인된다. |














208고지 앞의 도로
208고지 주변
208고지 전방의 고지
208고지 전경(좌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