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쇠고개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지연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현재 도로 확장으로 인해 당시의 모습은 확인할 수 없다. |
| 정의 | 1950년 7월 27일 미 제29연대 제3대대를 방어지역으로 안내하던 전 총참모장 채병덕 소장이 적과 조우하여 전사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하동 전투 |
|---|---|
| 관련 조직 | 미 제29연대 |
| 관련 인물 | 채병덕 장군, 사라 대위 |
| 관련 내용 |
1950년 7월 27일 미 제29연대 제3대대는 횡천리 야영지에서 하동을 향하여 이동하였다. 이때 전 육군총참모장인 채병덕 소장이 자청하여 이들을 방어지역으로 안내하였다. 대대가 접적행군을 하여 쇠고개에 이르렀을 때 최선두에서 적 10여 명이 앞쪽 능선에서 움직이는 것을 목격하여 사격을 가하였으나 명중되지는 않았다. 제3대대 L중대장 샤라 대위는 적이 쇠고개를 점령할 경우 하동으로 이르는 통로가 막힐 것이라고 짐작하고 각 소대로서 고갯마루로 돌격하여, 통로의 남쪽을 점령하도록 하였다. 샤라대위는 전 대원에게 적이 지근거리로 접근할 때까지 사격하지 말도록 통제하였으나, 적의 첨병으로 보이는 선두가 40m 앞에 이르고 있었다. 다급한 상황에서 채병덕 소장은 피아구분이 되지 않아 아군인지 적인지를 묻는 고함을 질렀다. 이 순간 적들이 산개하여 도랑으로 뛰는 순간 샤라 대위가 사격개시 명령을 외쳐 기관총·소총사격을 퍼부었고, 적도 즉시 응사하였다. 적의 박격포탄 공격으로 아군의 전술항공통제반 무전차량과 대대 지휘차량이 파괴됨으로써 전 총참모장 채병덕 소장이 전사하고 지휘부가 마비되었고, 각 부대와 연락이 두절된 상태에서 철수명령이 하달되어 철수하였다.후에 반격작전시 하동을 재탈환할 때 이곳에서 313구의 미군시체를 찾아내었으며, 적의 포로진술에 따라면 미군포로도 100여명에 이르렀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4, 2008, 539-545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277-278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
|---|---|
| 주소 | 경남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 246-10일대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6·25전쟁사』4권에 의하면, 1950년 7월 27일 미 제29연대 3대대가 하동 쇠고개에서 북한군과 접전한 전투임이 확인된다. |














하동교 전경
쇠고개에서 바라본 동산리 전경
쇠고개에서 내려다 본 모습
정면에서 바라본 쇠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