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용문산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재반격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고지의 형태는 남아 있으나 당시 주변의 민가 길은 건물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
| 정의 | 1951년 5월 중공군의 제2차 춘계공세시 국군 제6사단이 중공 제63군 예하 3개 사단의 침공을 격퇴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1 중공군 춘계공세 |
|---|---|
| 관련 조직 | 국군 제6사단 |
| 관련 인물 | 김종오 |
| 관련 내용 |
1951년 5월 중공군 2차 춘계공세시 국군 제6사단은 용문산 일대에 주저항선을 형성하였다. 사단은 아울러 경계부대를 용문산 전방의 홍천강과 청평강 남안에 배치하여 만반준비를 갖추고 방어에 임하고 있었다. 사단은 마침내 중공 제63군의 공격을 받고 성공적으로 저지하였다. 사단 사령부 경계부대인 제2연대를 철수시키지 않고 경계지대 내에서 중공군을 타격도록 하여 공격을 저지하고자 하였다. 중공군의 공격력이 약화되자 국군 제6사단은 주저항선 상의 사단 주력으로 반격을 가하여 이들을 격퇴하였다. 이 교전에서 경계부대인 제2연대는 33고지와 427고지에서 전면 방어태세로 3일 간을 지탱하면서 중공군에게 연속적인 타격을 가하여 이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반면 중공군 제63군은 전투에서 패배하여 치명적인 타격을 입고 가평 북방으로 후퇴하게 되었으며, 국군 제6사단은 공세로 전환하여 이들을 추격, 가평과 춘천을 거쳐 화천 발전소까지 약 60Km를 진출하는 동안 많은 전과를 거두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중, 1997, 579-581쪽.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8, 2011, 552-556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천안리 |
|---|---|
| 주소 | 경기 가평군 설악면 천안리 98 일대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중권에 의하면, 용문산에서 방어진지를 편성하고 있던 국군 제6사단이 1951년 5월 중공군의 2차 춘계공세를 받고 치열한 방어전투를 수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6사단은 많은 전과를 올리면서 중공군을 격퇴하였음이 확인된다. |














용문산전투기념비
용문산 일대 고지들
용문산 전투지(원경)
용문산전투기념비와 주변 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