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양구 군량리 마석봉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재반격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원형보존 /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
| 정의 | 중공군의 5차공세 직후 1951년 6월 7일-12일 국군 제7사단이 반격작전을 전개하여 북한군 제6사단과 치열한 교전 끝에 고지를 점령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중공군 제5차 공세 |
|---|---|
| 관련 조직 | 국군 제7사단, 북한군 제6사단 |
| 관련 인물 | |
| 관련 내용 |
마석봉 전투는 중공군 5차 공세 직후 1951년 6월 7일-12일 국군 제7사단이 반격작전을 전개하여 북한군 제6사단과 치열한 교전 끝에 백석산으로 진출하기 위한 중요 거점을 장악한 전투이다. 국군 제7사단은 1951년 중공군의 5월 공세로 큰 피해를 입고 미 제10군단 예비가 되어 부대를 재편성하였다. 사단은 군단의 전선 재조정에 따라 5월 31일 화천저수지 남쪽의 미 제1해병사단 작전지역을 인수하고 군단의 좌전방 사단으로 전선에 복귀하였다. 미 제10군단의 전선 정비가 완료되자 제8군사령관은 인접 군단과의 전선 균형을 유지하고 보급로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신캔사스선(화천전수지 - 해안분지 남쪽 - 향로봉 - 거진 선)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미 제10군단 예하의 국군 제7사단은 6월 6일 군단으로부터 신 캔사스선상의 마석봉 - 504고지 - 757고지를 확보한 후 백석산 남쪽의 731고지와 931고지에 강력한 정찰거점을 설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국군 제7사단은 7일 공격준비를 갖춘 후 8일 제5연대 제1대대를 마석봉 공격에, 제3대대를 757고지 공격에 각각 투입하였다. 마석봉과 757고지에서는 6월 10일까지 주야를 가리지 않고 피아간에 뺏고 빼앗기는 혈전이 계속되었다. 결국 11일 국군 제7사단은 미 제10군단의 강력한 포격지원을 받아 군량리 일대를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다. 마석봉 - 757고지를 연하는 신 캔사스선을 확보한 제7사단은 12일 전방의 731고지 - 917고지를 연하는 전진기지를 점령함으로써 차후 백석산 공격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
| 참고 문헌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중, 1996, 630-633쪽.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6, 1973, 422-445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강원도 양구군 북면 군량리 |
|---|---|
| 주소 | 강원 양구군 양구읍 군량리 산 328 일대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중권 630-633쪽에 의하면, 국군 제7사단이 1951년 6월 7-12일 마석봉 - 757고지를 연하는 신캔사스선으로 진출했음이 확인된다. |














군량현 - 도솔산 전투(1951. 6. 3~6. 18)
군량리 마을 입구. 멀리 보이는 봉우리가 마석봉이다.
마석봉 전경
군량리 마을
군량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