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월미도(녹색해안) 상륙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반격북진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월미도와 그 주변 일대는 도로 및 건물로 인해 인천상륙작전 당시의 원형이 완전히 변형되어 식별하기 매우 어렵다. |
| 정의 |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에서 미 제5해병연대 제3대대가 녹색해안(Green Beach) 상륙작전의 임무를 맡고 새벽 6시 55분 정상을 장악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0 인천상륙작전 |
|---|---|
| 관련 조직 | 미 해병 제5연대 제3대대 |
| 관련 인물 | 맥아더, 스미스 |
| 관련 내용 |
유엔군은 1950년 9월 15일 총반격 작전을 위한 인천상륙작전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 제5해병연대 제3대대는 1950년 9월 15일 오전 5시 40분 그린비치로 설정된 월미도상륙 명령을 받았다. 5분 후 순양함들의 6인치 및 8인치 함포들이 거대한 포문을 열어 지원사격을 가하기 시작하였다. 오전 6시까지는 전 상륙군이 상륙정에 분승하여 상륙 시각이 될 때까지 선회하면서 대기하였다. 오전 6시 15분에 공중공격이 끝나고 지원함정이 월미도에 집중공격을 가하게 되자 7척의 상륙정이 해변으로 돌진하여 오전 6시 33분에는 이미 제1진이 상륙하기 시작하였다. 상륙군은 거의 저항을 받지 않고 전진하였으며 약 50야드 넓이의 해안 만을 상륙지점으로 사용하였다. 이어 포트 마리온 호가 전차 10대를 싣고 뒤따라 상륙하여 북한군을 격퇴하기 시작하였다. 오전 6시 55분 스미스 상사가 월미도 정상에 성조기를 게양하고 오전 7시 59분에는 제4진이 도착하여 적을 소탕하였다. 소월미도에 대한 공격은 G중대가 맡아 적 1개 소대를 항공지원 하에 격멸하였다. 불도저 전차가 북한군을 제압하고 상륙한지 1시간도 못되어 제3대대는 월미도의 반을 제압하였고, 오전 8시 7분에는 월미도를 완전히 확보하였다. 월미도 상륙작전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3, 1971, 661-662쪽. 전사편찬위원회,『인천상륙작전』, 서울인쇄, 1983, 132-139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인천시 북성동 |
|---|---|
| 주소 | 인천 중구 북성동1가 산2-16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사』3권에 의하면,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당시 미 제5해병연대 제3대대가 그린비치로 설정된 월미도 해변으로 돌진하기 시작하여 월미도 정상에 성조기를 높이 게양하고 적을 격퇴하거나 포획하였음이 확인된다. |














상륙작전 당시 상공에서 촬영한 인천 앞바다
월미도 - 상륙 중인 미군들
인천에 상륙한 맥아더 장군과 그 일행(1950년 9월 16일)
마운트 맥킨리 호 위에서 상륙작전을 지켜보는 맥아더와 지휘부
월미도 라디오 고지 - 북한군의 장비를 화염방사기로 소각하고 있는 모습
‘인천상륙작전 10주년 기념비’
백기를 들어 투항하고 있는 북한군
월미공원 기념광장 앞에 설치된‘인천상륙작전 10주년 기념비’
월미도 전경
월미도 앞바다 - 최초상륙지점
월미도 전경
월미도로 진격하는 미제5해병연대 3대대
폭격당하고 있는 월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