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팔미도 등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가수호사적지
운동계열분류 반격북진작전
종류 건물
상태 원형보존 / 팔미도 전투지는 현재 당시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정의 1950년 8월 26일 미 해군 클라크 대위가 임무를 부여받고 주민들의 협조하에 등대 확보작전을 성공하여 인천상륙작전 실행에 크게 기여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50 인천상륙작전
관련 조직 정보부대 
관련 인물 클라크 대위, 연정 중령, 계인주 대령
관련 내용 인천상륙작전의 사전 작전으로 덕적도와 영흥도를 점령한 유엔군은 다음으로 팔미도를 확보하여 인천으로 들어가는 수로를 확보하려 하였다. 이에 미 해군 클라크 대위는 유엔군사령부로부터 인천상륙작전을 위한 정보수집 임무를 부여받았다. 그는 서해지구 책임자인 앤드류스 소장의 주선으로 2명의 한국인 통역과 영국 해군 구축함 췌리티호를 타고 와서 9월 1일 한국해군함정 PC703함에 옮겨 탄 다음, 그날 저녁 영흥도에 도착하였다.

클라크 대위는 국군 정보장교인 계인주 대령과 연정 중령, 그리고 주민들의 협조를 받으면서 정보수집에 착수하게 되었다. 그는 먼저 청소년들을 동원하여 해안감시반을 조직하고 일부의 청년들을 인천과 서울 등지로 파견 침투시켜 북한군 포대의 위치와 수, 해벽의 높이 그리고 서울 - 인천 간의 부대집결소와 이동로 등을 조사 보고하는 동시에 자신도 어두운 밤을 이용하여 인천항으로 노를 저어 들어가 직접 정보를 입수하기도 했다.

특히 그는 팔미도 등대의 항해등을 점화하여 국군 및 유엔군 함선들이 비어수로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하였고 북한군이 국군과 유엔군의 상륙전을 예상하고 있는 지 혹은 북한군이 방어대책을 세우고 있는지에 대하여 중점을 두어 각 방면으로 정보를 수집하는데 성공하였다.
참고 문헌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3, 1971, 645-646쪽. 전사편찬위원회,『인천상륙작전』, 서울인쇄, 1983, 92-93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기도 옹진군 용유면 무의리
주소 인천 중구 무의동 산 374
도로명 주소 인천광역시 중구 팔미로 15
위치 고증 『한국전쟁사』3권에 의하면, 1950년 8월 26일 미 해군 클라크 대위가 인천상륙작전을 위한 정보수집임무를 부여받고 계인주 대령 등의 안내 하에 팔미도로 진출하여 등대를 성공적으로 확보하였음이 확인된다. 팔미도 등대는 아직까지 남아있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