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유학산 전투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가수호사적지
운동계열분류 낙동강방어작전
종류 산야
상태 원형보존 / 전쟁 당시의 원형이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다.
정의 1950년 8월 15일 국군 제1사단 제12연대가 북한군 제13사단과 뺏고 빼앗기는 치열한 공방전을 수차례 전개하여 마침내 고지정상을 탈환하는데 성공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수암산 전투, 다부동 전투
관련 조직 국군 제12연대, 북한군 제15사단 
관련 인물 백선엽
관련 내용 국군 제1사단 제12연대는 1950년 8월 15일 유학산(837고지) 일대에 대한 수색을 통해 북한군 제13사단 예하 1개 대대가 유개호를 구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학산의 북쪽은 경사가 완만해 북한군에 유리하였으며, 접근 능선은 3~4개소뿐이었고, 그나마 1개 분대가 겨우 산개할 수 있을 정도로 좁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8월 16일 오후 2시 제12연대 제1대대는 유학산(837고지)에 대한 공격을 개시하였으나 경사도가 가파르고 포병지원사격이 지형으로 인해 효과를 보지 못하자 공격에 실패하였다. 같은 날 새벽 3시경 연대 중앙일선인 제3대대가 적의 기습을 받아 유학산 주봉에서 철수하여 아군이 매우 위태롭게 되었다.

8월 18일 오전 제1대대는 공격을 재개하였으나 적의 수류탄 공격으로 9부능선에서 저지되었다. 다음날 이른 새벽 제1대대는 공격을 재개해 8시간 동안 혈투를 벌였으나 또 다시 실패하였다. 이날 야간 장교수색대가 유학산 정상 부근에 접근해 북한군 병사들이, “서울을 내놓을망정 유학산 만은 어림없다”는 말을 들었다. 대대는 8월 20일 새벽 유학산 7~8부 능선에서 목표를 향해 공격하였다. 제1대대는 10여 차례 공격하였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대대장은 주간공격으로는 목표탈취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긴급 공중지원을 요청해 적을 견제하였다. 제2대대는 야간에 수색조를 통해 적이 공격할 기미가 없음을 확인하고 기습 공격을 계획하였다. 제1대대는 8월 23일 새벽 2시 9회에 걸친 백병전과 천여 명의 손실 끝에 8일 만에 드디어 837고지를 탈환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날(8월 23일) 동석동 동명초등학교에 위치한 제1사단 사령부에는 신성모 국방부 장관과 정일권 육군총참모장을 비롯해 방한 중인 미 육군참모총장 콜린스 대장과 미 제8군사령관 워커 중장이 방문해 국군의 용전을 치하하였다.
참고 문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5, 2008, 149-154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313-319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학산리
주소 경북 칠곡군 가산면 학산리 947 일대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6·25전쟁사』5권에 의하면, 국군 제1사단 제12연대가 1950년 8월 15일부터 8월 23일까지 유학산에서 북한군 제15사단의 공격을 방어하여 격렬한 전투를 수행하였으며, 8월 20일 완전히 확보하였음이 확인된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