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인천 만국공원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3·1운동
종류 기타
상태 변형 / 인천의 시가지와 서쪽의 월미도를 바라보는 항만의 풍경이 간직된 만국공원은 부분적으로 변형되었으며, 1957년 10월부터 자유공원으로 불려지며 같은해 9월 15일 맥아더 장군 동상이 세워졌다.
정의 1919년 3월 9일 인천에서의 독립만세시위가 일어난 곳이자, 4월 2일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13도 대표자 회의가 열린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19.3.9 인천 만국공원 독립만세시위/1919.4.2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13도 대표자회의 개최
관련 조직 대한국민의회/한성임시정부/대한민국임시정부 
관련 인물 이교헌(李敎憲), 윤이병(尹履炳), 윤용주(尹龍周), 최전구(崔銓九), 이용구(李容珪), 김규(金奎), 이규갑(李奎甲), 홍면희(洪冕熹), 안상덕(安商悳), 이승만(李承晩), 이동휘(李東輝)
관련 내용 만국공원(萬國公園)은 1888년 11월 9일에 조성되어 각국공원(各國公園)이라고도 불렸다. 이는 이 공원이 제물포항(인천항) 개항 이후 개항장 일대에 설치한 각국 조계(租界)지역의 완충지대였기 때문이다. 조계 지역은 조선의 영향력이 미칠 수 없는 치외법권 지역이었다. 미국·영국·러시아·청국·일본 등 각국의 외교관들이 공동서명하고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A.J.Scredin.Sabatine)이 측량해 공원의 모습을 갖췄다.
1919년 3월 7일과 8일 인천부 각지에 독립선언서가 배포되고, 3월 9일에는 만국공원과 시내에 수백명의 시위대가 모여 독립만세를 외친 후 해산하였다. 이외 상인들은 상가철시 등으로 일제에 항거하였다.
만세운동이 한창이던 3월 이교헌(李敎憲)·윤이병(尹履炳)·윤용주(尹龍周)·최전구(崔銓九)·이용구(李容珪)·김규(金奎) 등이 이규갑(李奎甲)에게 임시정부 수립을 제안하였다. 인천시내 만세운동이 잦아들던 1919년 4월 2일 만국공원에서 이규갑·홍면희(洪冕熹)·안상덕(安商悳) 등 13도 대표들은 이날 독립운동의 실효를 거두기 위해 임시정부 수립을 결의하였다. 이 임시정부가 상해 및 노령 대한국민의회와 더불어 3대 임시정부의 하나로서 임시정부 정통성의 근간이 된 '한성임시정부'이다.
13도 대표들은 임시정부 선포문을 통하여 '3·1민주혁명을 바탕으로 국민대회를 조직하고, 본 대회는 민의에 기(基)하여 임시정부를 조직, 약법(約法)을 제정하여 이를 선포한다'라며 국민대회 취지를 포고하였다. 따라서 한국이 독립국임과 함께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음을 대내외에 알린 것이다. 이때 발표된 정부 주요 인사는 이승만(李承晩)·이동휘(李東輝) 등 24명이었다.
이후 1919년 9월 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헌법이 공포되면서 상하이[上海]의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통합하게 되었다.
참고 문헌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 1971, 135쪽.
인천광역시사편찬위원회, 『인천광역시사』 2, 인천광역시, 2002, 656쪽.
인천광역시·인하대박물관, 『인천문화유적분포지도』, 2005, 112쪽.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역사문화연구실, 『(근대문화로 읽는)한국최초 인천최초』, 2005, 220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기도 인천부 부내면
주소 인천 중구 인천광역시 중구 자유공원남로 35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독립운동사자료집』 5권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만국공원은 1888년 11월 9일에 조성된 한국 최초의 공원이며, 1914년부터는 서공원(西公園)으로 불렸고, 1957년 10월부터 자유공원(自由公園)으로 불렸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