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옛 양성면사무소 터 3·1운동 만세시위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내항일운동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3·1운동 |
| 종류 | 거리 |
| 상태 | 멸실 / 현재 가옥이 들어서 있다. |
| 정의 | 양성면사무소는 1919년 4월 1일 1,000여명의 면민이 모여 독립만세운동을 벌인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19 안성군 3·1운동 |
|---|---|
| 관련 조직 | |
| 관련 인물 | |
| 관련 내용 | 1919년 4월 1일 양성면의 각 마을이 따로따로 만세시위를 하다가 면소재지인 동항리로 집결하여 1,000여 명의 시위대는 양성면사무소·양성(경찰관)주재소 앞에서 만세운동을 벌였다. 이 때 양성면 시위대는 만세시위를 하고 저녁 9시 50분 경 해산하여 돌아가려던 중 원곡 주민들과 합류하였다. 2,000여 명으로 불어난 시위대는 다시 양성주재소로 가 만세시위를 한 다음 주재소를 소각하고, 이어서 양성우편소로 가서 집기를 불태우고 양성면사무소에서도 물품을 파괴하고 서류를 불태웠다. 이어 시위대는 일본인이 경영하는 잡화상과 대금업자의 집을 습격하여 가옥을 파괴하고 가구류와 기물들을 소각시켰다. 양성면에서 관공서와 상점을 파괴·방화한 시위군중은 이튿날인 4월 2일 새벽 다시 성은고개를 넘어 원곡면 외가천리에 있는 원곡면사무소를 습격, 소각하고 아침을 먹은 후 평택의 경부선 철도를 파괴코자 하였으나 일본수비대가 들어온다는 소식을 듣고 모두 피신·해산하였다. |
| 참고 문헌 |
국회도서관,『한국민족운동사료』3·1운동편 3, 1979, 152∼153·159쪽.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운동사자료집』5, 1972, 410∼482쪽. 이정은,『안성군 원곡·양성의 3·1운동』, 원곡·양성 3·1운동선양회, 1992. 박환,『경기지역 3·1독립운동사』, 선인, 2007, 93∼97·112∼113쪽. 안성시지편찬위원회, 『안성시지』1, 안성시지편찬위원회, 2011, 509~511쪽. 김대용·나은주, 『안성독립운동자료집3 서안성지역』, 안성시, 2020, 34쪽. 박환, 「경기도 남주지역의 정면대결 시위」, 『3·1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지역적 전개』, 경인문화사, 2019, 363~374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안성군 양성면 동항리 382 |
|---|---|
| 주소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적성길 17-1(동항리 382-1)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독립운동사자료집』5권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으며, 일제의 현장조사 지도(국사편찬위원회 소장)를 현재 지적지도와 대조하고 『안성독립운동자료집3 서안성지역』를 통해서 동항리 382-1로 위치를 확인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