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병천 매봉산 봉화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내항일운동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3·1운동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유관순이 횃불을 올렸던 매봉산 정상은 성역화되어 있다. |
| 정의 | 1919년 4월 1일 천안군 갈전면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시위의 전개를 알리는 봉화를 올린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19.4.1 천안군 갈전면 매봉산 독립만세시위/1919.4.1 천안군 갈전면 병천장터 독립만세시위 |
|---|---|
| 관련 조직 | |
| 관련 인물 | 유관순(柳寬順)/유중권(柳重權)/유중무(柳重武)/조인원(趙仁元)/조만형(趙萬衡)/박봉래(朴鳳來)/이백하(李栢夏) |
| 관련 내용 |
천안군 갈전면 병천리에서는 1919년 4월 1일 3,0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병천리에서의 만세시위을 준비했던 유관순(柳寬順)과 그의 부친인 유중권(柳重權), 숙부 유중무(柳重武)를 비롯해 조인원(趙仁元)·조만형(趙萬衡)·박봉래(朴鳳來)·이백하(李栢夏) 등은 주민들에게 동참할 것을 권유하는 등 만세시위를 준비했다. 지령리교회를 중심으로 만세시위 준비가 끝나자 유중권·유중무 등은 3월 31일 자정, 즉 4월 1일 만세시위가 시작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천안으로 가는 길목, 충북 진천 방면의 고개, 수신면 산마루 등에서 횃불을 올릴 것을 지시했다. 유관순은 자정이 다가오자 갈전면 탑원리에 있는 매봉산 정상에 올라 만세시위를 알리는 횃불을 올렸다. |
| 참고 문헌 |
「조인원 등 11인 판결문」, 1919년 6월 30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 1971, 1161~1165쪽. 김진호, 『충남지방 3·1운동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82~83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충청남도 천안군 갈전면 탑원리 |
|---|---|
| 주소 | 충남 천안시 병천면 탑원리 산31 |
| 도로명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유관순길 86 |
| 위치 고증 | 「조인원 등 11인 판결문」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봉화지가 성역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














매봉산 정상에 세워진‘류관순 열사 봉화탑’전경
‘류관순 열사 봉화탑’에 쓰여져 있는 비문
‘류관순 열사 봉화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