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봉황각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문화운동
종류 건물
상태 부분변형 / 봉황각 본전(건평 28평)은 보수된 상태로 예전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나, 뒤편 내실은 의암성사 손병희의 미망인 주옥경 여사가 생전에 기거하면서 내부구조가 크게 바뀌었다. 본래 2만 7,946평에 이르던 대지도 현재는 1만 9,562평으로 줄어들었다.
정의 1912년 설립된 천도교 수도원으로, 3·1운동 당시 천도교 측의 민족대표 다수가 여기에서 연성과 수련을 받은 바 있는 천도교 민족운동의 요람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관련 조직 천도교(天道敎) 
관련 인물 손병희(孫秉熙)
관련 내용 봉황각은 손병희가 천도교 간부들을 연성·수련시키기 위해 1911년 우이동 도선사 입구 임야 2만 8천 평을 매입, 1912년 6월 준공한 교육도량이다. 1912년 천도교 교역자 21명을 선발하여 수련시킨 것을 시작으로, 모두 일곱 차례의 49일간 연성을 실시하여 천도교 간부 483명을 연성·수련시켰다. 3·1운동 당시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천도교측 민족대표 대다수가 여기를 거쳐 갔는데, 인적이 드물어 비밀스런 거사 준비모임 장소로 자주 사용되었다고 한다. 1957년 의암성사 손병희의 정신을 현창한다는 뜻으로 의창수도원(義彰修道院)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봉황각 앞 산 언덕에는 손병희의 묘소가 있다.

수도원 정문 안쪽에는 1969년 경운동 88번지 천도교 중앙총부 구내에 수운회관이 건립될 때 이전 복원한 옛 중앙종리원 2층 양옥 벽돌건물(별관, 1922년 건립)이 들어서 있다.
참고 문헌 천도교 중앙총부 교화관, 『천도교 수도원 길라잡이』, 천도교 중앙총부 출판부, 2007, 14~17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우이리
주소 서울 강북구 우이동 254
도로명 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73길 107-12
위치 고증 서울시 유형문화재 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천도교 수도원 길라잡이』의창수도원(봉황각)편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