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동락리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지연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동락초등학교는 그 당시 위치와 변함이 없으나, 도로가 포장되었고 초등학교 건물이 새로 건립되었다. |
| 정의 | 1950년 7월 6일부터 7일까지 국군 제6사단 제7연대가 개전 이후 처음으로 북한군 제15사단 제48연대를 기습하여 큰 전과를 올렸던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음성 전투, 미원 전투 |
|---|---|
| 관련 조직 | 국군 제6사단, 북한군 제15사단 |
| 관련 인물 | 김재옥(金在玉), 김종오, 박성철, 고재봉 |
| 관련 내용 |
1950년 7월 5일 국군 제6사단 제7연대 제1대대가 무극리를 공격하고 있을 때, 제3대대는 1개 소대 규모의 북한군 정찰대가 충주로 가고 있던 연대보급차량 1대를 빼앗아 끌고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당시 북한군 제15사단 제48연대는 국군이 차를 타고 후퇴하였다는 주민의 말을 듣고 동락리에 에서 휴식을 취하였다. 국군 제7연대는 동락초교 김재옥 교사의 제보와 정찰대의 활동으로 북한군이 동락리에 있음을 확인하고 북한군을 기습할 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연대의 명령에 따라 제3대대가 3번 도로에 적의 차량대열이 나타나자 선두를 공격하였고, 북한군은 크게 당황하여 북쪽 411고지와 덕고개 방향으로 도주하였지만 상당수가 격멸되었다. 제2대대 역시 7월 6일 15시경 명령에 따라 기습공격을 개시하여 큰 전과를 올렸다. 동락리 기습전을 통해 국군 제7연대는 개전 이후 최초로 북한군 제15사단 제48연대을 공격하여 큰 전과를 올렸으며, 전 국군의 사기를 크게 제고시켰다. |
| 참고 문헌 | 제37보병사단,『 충북지역전사』, 충청북도통합방위협의회, 2000, 105-11`0쪽. 국방군사연구소,『한국전쟁』(상), 1995, 220-223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충청북도 중원군 신니면 문락리 |
|---|---|
| 주소 | 충북 충주시 신니면 문락리 동락초등학교 일대 |
| 도로명 주소 |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301 일대 |
| 위치 고증 | 『충북지역전사』에 국군 제6사단 제2·3대대가 북한군 제15사단 제48연대을 공격하여 승리했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현재 동락초등학교가 남아 있어 위치를 비정하였다. |














김재옥교사기념관 안에 전시되어 있는 ‘동락리 전투’설명문
동락초등학교 안에 세워진 6·25 참전기념비
동락초등학교 안에 건립된 김재옥교사기념관 전경
동락초등학교 길 건너에 세워진 전승비
518번 도로 신니면 방면에서 바라본 동락초등학교 전경
동락초등학교 길 건너에 세워진 전승비 전경
현재 동락초등학교 전경
전쟁 당시 동락초등학교(『6·25전쟁사』3권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