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연희104고지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반격북진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도시개발과정에서 주택가로 편입되었으나 능선이 일부 남아있다. 해병대원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가 고지 정상에 세워져 있다. |
| 정의 | 인천상륙작전에 성공한 한·미 해병대가 서울사수를 위해 방어선을 치고 있던 북한군을 제압하고 서울 수복의 교두보를 마련했던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04 고지전투, 연희고지 전투 |
|---|---|
| 관련 조직 | 해병 제1대대 |
| 관련 인물 | 김진태, 고길훈 |
| 관련 내용 |
인천상륙작전에 성공한 미 해병제1사단(한국 해병대 배속)은 이어 인천에서 서울로 진공작전을 계속하였다. 1950년 9월 21일 행주나루를 통해 한강을 도하한 미 해병 제5연대 제3대대는 연세대 좌측에 있는 백련산(스위스 그랜드 호텔 뒷산) 216고지를, 한국 해병 제1대대(대대장 고길훈 소령)는 궁동산 104고지를 확보하기 위해 공격했다. 이때 한국 해병 제1대대는 제3중대를 주공으로 하여 치열한 백병전 끝에 같은 날 18시 30분에 104고지를 완전 점령하였다. 이 과정에서 많은 장병들이 희생되었으며 제3중대 화기소대장 김진태 중위도 목표를 탈취한 직후 날아온 적 포탄에 전사하였다. 해병 제1대대는 22일 새벽 3시 120미리 박격포의 지원을 받은 약 600여 명으로 추산되는 북한군들에게 역습을 받았으나, 3시간 동안의 전투 끝에 이들을 격퇴하여 고지를 지켜냈다. 이 고지의 점령으로 한·미 해병대는 서울시내로 돌입하는 매우 중요한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인천상륙작전』, 1983, 237-240·262-280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신오성, 1995, 420-423쪽.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제7권, 2009, 164-169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 |
|---|---|
| 주소 | 서울 서대문구 연희1동 산 113-10 |
| 도로명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11마길 9-6 |
| 위치 고증 | 『인천상륙작전』등의 연구성과와 1982년 9월 해병대사령부에서 건립한 전적비의 기록을 따랐다. |














연희 104고지를 탈환한 후 불타는 서울 시내를 바라보는 한국해병대원
연세대에서 본 104고지
해병대 104고지 전적비
104고지에서 본 서울시내(연세대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