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이병철 집터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등급분류 제외(항일운동)
운동계열분류 의열투쟁
종류 가옥
상태 멸실 / 생가는 없어지고 다른 건물이 들어서 있다.
정의 의열단에 가입하여 밀양경찰서 투탄사건과 경북폭탄사건에 가담한 이병철이 살았던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관련 조직 의열단 
관련 인물 김원봉(金元鳳)/윤세주(尹世胄)/이종암(李鍾岩)/곽재기(郭在驥)/이성우(李成宇)/김병환(金餠煥)/배중세(裵重世)/김상진(金祥振)/이병철(李炳喆)
관련 내용 이병철(1887~1925)은 밀양군 부내면 가곡동에서 태어났다. 1919년 11월 길림에서 김원봉·윤세주·이종암 등이 조직한 의열단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서간도 안동현에 원보상회(元寶商會)라는 미곡상을 운영하면서 상회를 연락기점으로 무기구입, 동지들의 피신, 은닉 등의 활동을 전개하며 자금을 지원하였다. 1920년 초 김원봉의 지시에 따라 곽재기·이성우 등이 중국 상해에서 구입한 폭탄 16개, 권총 2정, 탄환 100여 발 중 폭탄 3개를 원보상회를 통하여 밀양에 거주하는 김병환에게 송부하였다. 이때 이병철은 옥수수 20포대 속에 폭탄을 숨겨 밀양의 화물운송점으로 부쳐놓고, 기차편으로 밀양까지 가서 화물을 찾아 밀양에서 미곡상을 하고 있던 김병환의 집 마루 밑에 숨겨놓았다. 나머지 폭탄과 권총 등은 다시 옥수수 다섯 포대 속에 나눠 비밀 표식을 한 뒤, 다른 열다섯 포대와 섞어 화물로 위장하고 부산진역의 한 운송점으로 밀송하였다. 이를 배중세가 수령하여 창원군 진영의 강상진에게 보내 그 집 창고에 숨겨두었다. 뒤에 이종암이 이를 가지고 국내 폭탄의거를 계획하였으나 김병환 집에 보관된 폭탄이 일제에 탐지되어 그 실체가 드러났다. 1925년 1월 안동현에서 순국하였다.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 문헌 「밀양군 부내면 가곡동 지적원도」,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1912.
「이병헌 공적조서」,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곽재기 등 15인 판결문」, 1921년 6월 21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경상북도경찰부,『고등경찰요사』, 1936, 197~199쪽.
박태원,『약산과 의열단』, 백양당, 194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운동사』7, 1976, 312~317쪽.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운동사자료집』11, 1976, 91~94·660~673쪽.
「이병철 공적조서」,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김영범,『한국 근대민족운동과 의열단』, 창작과 비평사, 1997.
김영범,『(한국독립운동의 역사26) 의열투쟁 Ⅰ-1920년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37~138·147~148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남도 밀양군 부내면 가곡동
주소 경남 밀양시 가곡동 367
도로명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멍에실로2길 41
위치 고증 「이병철 공적조서」에 당시 주소지가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토대로「밀양군 부내면 가곡동 지적원도」와 현재 지적도를 비교하여 위치를 확인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