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윤치형 집터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등급분류 제외(항일운동)
운동계열분류 의열투쟁
종류 가옥 
상태 멸실 / 당시 가옥은 없어지고 다른 건물이 들어서 있다.
정의 밀양장터 만세시위를 주도하고 의열단 결성에 관여하고 의열투쟁 등을 전개한 윤치형이 살았던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19 3·1운동/1920 의열단 암살파괴의거
관련 조직 일합사/의열단/밀양청년회/신간회 밀양지회/밀양협동조합/경북기근구제회/신간회 경남지회 
관련 인물 황상규(黃尙奎)/안곽(安郭)/이각(李覺)/윤세주(尹世胄)/김원봉(金元鳳)/이종암(李鍾巖)/이종암(李鍾岩)/한봉근(韓鳳根)/김병환(金餠煥)
관련 내용 윤치형(尹致衡, 1893∼1970)은 동화학교(同和學校) 설립 발기인이었던 윤희용의 아들로 밀양면 내이동에서 출생하였다. 일찍히 황상규·안곽·이각 등과 함께 일합사(一合社)를 조직하여 항일투쟁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2월 사촌동생인 윤세주와 함께 고종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로 갔다가 3·1운동을 직접 체험하고 밀양으로 돌아와 1919년 3월 13일 밀양장터에서의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당시 만세시위로 80여 명이 체포되었는데 윤치형은 윤세주와 함께 검거를 피해 만주로 망명하였다. 궐석재판에서 그는 징역 1년 6월형을 언도받았다.

1919년 11월 10일 길림성에서 김원봉·윤세주·이종암·한봉근 등과 함께 의열단 결성에 관여하였다. 1920년 4월 의열단의 제1차 암살파괴의거에 참여하여 폭탄 구입과 국내 반입 등에 종사하다가 일제에 검거되었다. 이 사건으로 1921년 5월 경성지방법원에서 5년의 징역형을 언도받고 복역하였다.

출옥 후 황상규·김병환·윤세주와 함께 밀양청년회에서 활동하며 1927년 3월에는 밀양군청이전반대위원으로도 활약하였다. 신간회 밀양지회의 설립에도 관여하여 1927년 12월 신간회 밀양지회 창립위원, 재정부 간사 등을 지냈으며, 이후 밀양협동조합 상무이사, 신간회출석본부대의원, 신간회 경북기근구제회 간사, 신간회 경남지회연합회 준비회대표위원, 신간회 밀양지회 서기장 등 민족 및 사회운동에 헌신하였다. 신간회 해소 이후 다시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종사하다가 광복 후 귀국하였다.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 문헌 「밀양군 부내면 내이동 지적원도」,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1912.
「권재호 등 판결문」, 1919년 4월 4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곽재기 등 15인 판결문」, 1921년 6월 21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경상북도경찰부,『고등경찰요사』, 1934, 197∼199쪽.
경상남도경찰부,『고등경찰관계적록』, 1936, 12·27쪽.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11, 1976, 91∼94·660∼673쪽.
강만길 편,『밀양의 독립운동사』, 밀양문화원, 2003, 133∼140·158∼161·397∼404쪽.
김영범,『(한국독립운동의 역사 26) 의열투쟁Ⅰ - 1920년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31∼150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남도 밀양군 밀양면 내이동 977
주소 경남 밀양시 내이동 977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권재호 등 판결문」·「곽재기 등 15인 판결문」 및 『고등경찰관계적록』 등에 관련 사실과 당시 주소지가 기록되어 있다. 「판결문」과「제적등본」의 주소지를 토대로「밀양군 부내면 내이동 지적원도」와 현재 지적도를 상호 비교하여 위치를 확인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