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변상태 집터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등급분류 제외(항일운동)
운동계열분류 3·1운동
종류 가옥
상태 멸실 / 가옥을 신축하면서 원형은 사라졌고, 집터에는 현재 빈집이 남아 있다.
정의 경남 서부지역 일대에서의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한 변상태가 당시 살던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19.3.28 창원군 고현장터 독립만세시위/1919.4.3 창원군 진전면·진북면·진동면 연합 독립만세시위(삼진의거)/1923.3.18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저격사건(김익상의거)
관련 조직 대붕회/대동청년단/조선국권회복단/아사동맹회/의열단/고려구국동맹회 
관련 인물 정명교(鄭明敎)/황병기(黃炳基)/최기택(崔基澤)/김재화(金在華)/신종목(愼宗穆)/조용태(趙鏞台)/권영조(權寧祚)/권태용(權泰容)/권영대(權寧大)/변상섭(卞相攝)/권태선(權泰璿)/백승학(白承鶴)/변상헌(卞相憲)/박광(朴匡)/곽인협(郭寅協)/윤창기(尹昌基)/김상집(金祥集)/이종암(李鍾巖)/오성륜(吳成崙)/김익상(金益相)/구여순(具汝淳)/이주순(李周順)
관련 내용 변상태(卞相泰, 1889~1963)는 1889년 마산시 진전면 일암리에서 태어났다. 1905년 정명교(鄭明敎)·황병기(黃炳基) 등과 의병운동을 전개하였고, 1910년 합병 후에는 최기택(崔基澤) 등 6명과 함께 대붕회(大鵬會)를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1915년경에는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에 가입하여 활동했으며, 1917년에는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에 가입, 모험부장에 선출되면서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1919년 3·1운동 당시 변상태는 서울에서 일어난 만세시위에 참가한 후, 조선국권회복단 중앙총부로부터 서부경남 일대에서의 만세시위를 지휘하라는 책임을 맡고 귀향하였다. 귀향 후, 변상태는 진주의 김재화(金在華), 거창의 신종목(愼宗穆), 함안의 조용태(趙鏞台) 등과 거사를 논의하였다. 3월 하순 고향으로 돌아온 변상태는 권영조(權寧祚)·권태용(權泰容)·권영대(權寧大)·변상섭(卞相攝)·권태선(權泰璿)·백승학(白承鶴) 그리고 아우 변상헌(卞相憲) 등과 함께 삼진지방(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진북면· 진동면 일대)의 의거를 계획하였다. 3월 28일 창원군 진동면 고현장터에서의 만세시위는 계획한 대로 무사히 끝마쳤으나, 4월 3일(음력 3월 3진날)의 삼진 지역에서의 만세시위는 일본 헌병대의 발포로 8명의 사망자와 많은 부상자를 내게 되었다.

1920년 2월에는 만주로 건너가 박광(朴匡) 등과 한국회관을 건립하고자 노력하였고, 곽인협(郭寅協)·윤창기(尹昌基)·김상집(金祥集) 등과 아사동맹회(餓死同盟會)라는 독립운동 단체를 조직하기도 하였다. 1922년 5월에는 독립자금 3,000원을 의열단 단원인 이종암(李鍾巖)에게 전달하여 이종암이 1923년 3월 18일에 상하이[上海] 황포탄에서 오성륜(吳成崙)·김익상(金益相)과 더불어 일본 육군 대장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를 저격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하였다. 1922년 7월 변상태는 이웃 친지의 밀고로 체포되어 49일 동안 잔혹한 고문을 받은 다음, 미결수 신분으로 6개월, 서대문감옥에서 6개월, 함흥감옥에서 2년 등 3년여 동안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1944년 진주에서 구여순(具汝淳)·이주순(李周順) 등 11인의 동지와 함께 고려구국동맹회(高麗救國同盟會)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 문헌 「변상태 등 10인 판결문」, 1920년 8월 7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변상태 등 10인 판결문」, 1920년 10월 30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변상태 판결문」, 1922년 10월 27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동아일보』, 1920년 7월 24일, 「今日 公判 開廷되는 昌原事件 豫審決定書, 변상태 외 구인」.
「(조선국권회복단 예심종결처분에 대한 의견서)구의견서」,『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8, 1989, 177~179쪽.
김봉렬, 「마산 삼진의거 3·1운동사적 고찰」, 『경남지역문제연구청서』 8, 경남대학교 경남지역문제연구원, 2003, 223~258쪽.
한국문화원연합회 경상남도지회, 『경남지역 3·1독립운동사』, 함안군·한국문화원연합회 경상남도지회, 2007, 18~27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남도 창원군 진전면 양촌리 374
주소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양촌리 374
도로명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팔의사로 379-46
위치 고증 「변상태 등 10인 판결문」 및 『동아일보』 1920년 7월 24일자 등에 관련 사실과 당시 주소지가 기록되어 있다. 5촌 조카인 변철섭씨의 증언으로 위치를 확인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