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황태익 집터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등급분류 제외(항일운동)
운동계열분류 의열투쟁
종류 가옥
상태 멸실 / 집터에 새 가옥이 신축되어 있다.
정의 창원군 진전면에서 전개된 만세시위를 주도하고, 경남결사대를 조직하여 의열투쟁을 전개한 황태익이 살던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19 3·1운동
관련 조직 경남결사대(慶南決死隊) 
관련 인물 권태용(權泰容)/변우범(卞又範)/권영대(權寧大)/변상태(卞相泰)
관련 내용 황태익(黃泰益, 1877~1953)은 경남 창원군 진전면 일암리에서 출생하였다. 1899년 동학에 입교한 후 천도교 초대 고성 교구장이 되었는데, 고성 구만면 음나무재를 통해 고성과 진전을 넘나들면서 교세 확장에 노력하였다. 1919년 4월에는 창원군 진전면의 변상태(卞相泰)·권영대(權寧大)·권태용(權泰容)·변우범(卞又範) 등과 함께 만세시위를 계획하여 태극기 수십장을 제작하였다. 거사 당일인 4월 3일에는 변상태 등과 함께 진전면과 진북면 주민 1,500여 명을 지휘하였으며 진동헌병주재소 앞으로 선도하다가 마산헌병대의 지원을 받은 일본 수비대와 충돌하였다. 이때 일본 헌병의 무차별 발포로 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이 사건으로 체포되었다가 무죄 판결을 받고 석방되었다.

1920년 3월에는 경남 진주에서 경남결사대(慶南決死隊)를 조직하여 대장으로 추대되었으며, 진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 경남에서 동지를 규합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긴밀한 연락을 취하며 항일활동을 펼쳤다. 같은 해 4월에는 경상남도 일대를 순시하는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齋藤實]을 암살할 계획을 세웠으나 삼엄한 경비로 실패하였고, 6월에는 부산축항기념축하회(釜山築港紀念祝賀會)에 참석하기 위해 오는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등 일제 고관을 처단하려 했으나 역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 문헌 「토지대장」.
「권영대 등 10인 판결문」, 1919년 11월 6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변상태 등 10인 판결문」, 1920년 10월30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동아일보』, 1920년 6월 5일, 「총독암살단 체포, 황태익 이하 7명의 결사대, 천도교청년회장도 들었다」.
『동아일보』, 1920년 7월 21일, 「창원사건 예심결정서, 변상태 외 9인, 10월 22일 고등법원에서」.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 1972, 1229~1232쪽.
향토사료연구회, 『訥菴黃泰益先生實記』, 신한출판사, 1980, 101~116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남도 창원군 진전면 일암리 333
주소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일암리 333
도로명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일암2길 25-9
위치 고증 「권영대 등 10인 판결문」과 「변상태 등 10인 판결문」 등에 관련 사실과 당시 주소지가 기록되어 있다. 「토지대장」을 통해 당시 주소지가 부친 황우의(黃祐義) 소유의 가옥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