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김철수 생가 터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등급분류 제외(항일운동)
운동계열분류 사회운동
종류 가옥
상태 멸실 / 현재 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정의 2·8 독립선언에 참여하였으며 양산청년회, 신간회 양산지회에서 활동했던 김철수가 태어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19 2·8독립선언
관련 조직 조선청년회, 양산청년회, 조선학회, 재동경한국유학생학우회, 물산장려회 
관련 인물 윤현진, 신익회, 이광수
관련 내용 김철수(金喆壽, 1896~1977)는 부농인 김상형(金商炯)과 김월봉(金月鳳)의 차남으로 양산군 상북면 상삼리 328번지에서 태어났다. 형 김규수(金奎壽)와 함께 자형인 박인표(朴仁杓)의 기장 집에서 보통학교를 다니다가 부모가 이주한 동래군 좌이면 구포리 23통 8호로 옮겨 구포 구명학교(龜明學校)를 졸업하고 부산상업학교에 입학하여 1913년 졸업하였다. 다시 7월에는 일본 동경으로 유학가서 게이오대학에 입학하여 유학생 모임인 재동경 한국유학생학우회에 가입하고 같은 유학생이었던 신익희·이광수·장덕수·최팔용·김도연·백관수·윤현진·최승만 등과 교류하며 학회 기관지인『학지광』의 발간에도 관여하였다.

1918년 조선학회란 비밀결사를 조직하였으며 조선청년독립단 조직에도 관여하였다. 1919년 2·8 독립선언의 11명 대표위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가 피검되어 징역 9월을 선고받아 동경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20년 3월 9일 출옥 후 고향으로 돌아와 같은 해 7월 15일 양산청년회 창립을 주도하고 초대회장에 피선되었으며 12월 2일 조선청년회연합회 총회에서 상임위원으로 피선되었다. 1923년에는 물산장려회 조직에 참가하였다. 이후 청년회연합회 및 물산장려회 주최의 순회 강연회에 강사로 활동하였으며 신간회 양산지회 설립준비위원과 검사위원을 거쳐 일제의 탄압 속에서 해방을 맞았다.

1963년 대통령표창을,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참고 문헌 「2·8독립선언서」.
「양산군 상북면 대석리 지적원도」,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1913.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3-3·1운동사(하), 1971, 665-669쪽.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9-학생독립운동사, 1977, 116-137쪽.
사단법인 삼일동지회,『 부산경남삼일운동사』, 1979, 678-680쪽.
박용숙, 「일제하(1920~1930년대) 양산지방의 사회운동」, 한국문화연구,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90.
김승, 「일제하 양산지역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지역과 역사』14, 부경역사연구소, 2004.
양산향토사연구회, 『(증보판)양산항일독립운동사』, 양산시민신문, 2009. 249-250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남도 양산군 상북면 상삼리 328
주소 경남 양산시 상북면 상삼리 328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제적등본」에 의거하여「경상남도 양산군 상북면 상삼리 지적원도」와 현재의 지적도를 상호 비교하여 위치를 확인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