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금성교 - 대평리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지연작전 |
| 종류 | 기타(교량) |
| 상태 | 멸실 / 전쟁 중 다리를 폭파하였고, 1번 국도 확장과 함께 새로운 다리가 만들어져 당시 모습이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당시 전투가 있었던 주변의 지형은 거의 그대로 남아있다. |
| 정의 | 북한군의 남침 직후 1950년 7월 13일 미 제24사단 19연대가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폭파한 금성교가 있던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0 한국전쟁 |
|---|---|
| 관련 조직 | 미군 제24사단 |
| 관련 인물 | 딘(William F. Dean) 소장 |
| 관련 내용 |
북한군의 남침 직후 1950년 7월 11일 미군 제24사단 19연대는 전의-조치원 전투에서 북한군으로부터 큰 타격을 입고 금남면 대평리 방향으로 철수하였다. 미군은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금강을 잇는 방어선을 구축하였고, 19연대는 대평리 부근의 금강 다리(금성교)를 중심으로 주변에 방어선을 구축하고 방어진지공사에 들어갔다. 7월 13일 미군은 북한군의 남하를 막기 위해 1번 국도의 중요한 교량이었던 금성교를 폭파하였다. 하지만 북한군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여러곳에서 도하를 시도하였다. 결국 7월 16일 미 제19연대는 금남면 대평리 등지에서 금강을 도하한 북한군으로부터 후방차단 공격을 받아 결국 대전으로 철수하였다. |
| 참고 문헌 |
육군본부,『 한국전쟁사』2, 1979, 461쪽.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4, 2008, 91쪽. 변평섭,「 6·25 전쟁과 대전」,『 대전문화』9, 2000, 361쪽. 국방군사연구소,『한국전쟁』(상), 1995, 244-249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대평리 - 남면 나성리 |
|---|---|
| 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 금남면 대평리 194 - 남면 나성리 113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사』2권과『6·25전쟁사』4권에 관련 사실이 명기되어 있다. 1번 국도가 옮겨지지 않은 채 확장만 된 상태여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














금성교 폭파 광경(1950. 7. 13)
금성교(유성 방향)
옛 금성교의 흔적
금성교(조치원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