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판교(110고지)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초기작전 |
| 종류 | 건물/산야 |
| 상태 | 변형 / 초등학교 건물은 신축되었고, 초등학교 뒷산에는 수자원공사 성남정수장이 들어섰다. 운동장 자리와 동측 고지는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
| 정의 | 1950년 6월 30일부터 7월 1일까지 육사생도대와 혼성 제3사단 25연대가 판교 방면으로 침투한 북한군 제3사단 8연대 소속 1개 대대 병력을 기습공격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0 6월 29일~7월2일 신사리-말죽거리 전투 |
|---|---|
| 관련 조직 | 육사 생도대 |
| 관련 인물 | 박영휘 중위, 김병휘 중령, 고등서 소령, 박정서 대위 |
| 관련 내용 |
북한군은 1950년 6월 28일 서울을 점령하고 계속 한강이남으로 진출을 기도하였다. 북한군 제3사단 제8연대 소속부대 중 1개 대대가 서빙고에서 도하에 성공하여 아군 후방으로 침투하였다. 북한군은 말죽거리를 거친 후 1950년 7월 1일 오전 4시 경 판교 서쪽의 낙생초등학교에 집결하였다. 이들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던 육사생도대는 박정서 대위의 지휘 아래 60㎜ 박격포 2문으로 선제 급습을 가하였다. 이 공격으로 북한군은 적지 않은 손실을 입었다. 그러나 생도대가 보유한 250발의 박격포탄이 모두 소진되자, 북한군이 오히려 역습을 감행하여 생도대는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생도대가 철수하게 되자 그 좌측에서 같은 작전을 수행하던 제25연대는 역습에 나서 북한군의 증원병력이 도착하기 전에 생도대 진지를 탈환하였다. 하지만 역습부대 역시 북한군으로부터 집중적인 포격과 사격을 받아 큰 손실을 입고 금곡리 방면으로 물러서지 않을 수 없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38도선 초기전투-서부전선 편』, 1985, 335-338쪽.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3, 2005, 198-201쪽. 낙생초등학교 홈페이지 http://www.naksaeng.es.kr.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판교리 |
|---|---|
| 주소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186 일대 |
| 도로명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판교로74번길 11 |
| 위치 고증 | 『6·25전쟁사』3권을 통하여 관련 사실을 확인하였다. 낙생초등학교 연혁을 통해 현재 자리가 그대로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육사생도대와 25연대가 진지를 구축하고 있던 능선
낙생초등학교와 110고지
낙생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