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서파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초기작전 |
| 종류 | 거리 |
| 상태 | 변형 / 서파 전투지는 주변 도로공사로 인해 그 원형이 완전히 변형되어 당시의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
| 정의 | 1950년 6월 25일 국군 제9연대 1대대가 포천으로 내려가려는 북한군 제3사단 예하부대의 공격을 지연 방어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0 포천 전투 |
|---|---|
| 관련 조직 | 국군 제9연대, 북한군 제3사단 |
| 관련 인물 | |
| 관련 내용 |
1950년 6월 25일 국군 제9연대는 포천 일대에서 북한군 제3사단 예하부대의 기습 남침을 받았다. 북한군 전차부대가 국군의 주저항선 방어지대 중앙을 통과하자 제9연대 장병들은 후속하는 북한군 도보부대만은 기필코 격퇴할 것을 다짐하며 진지를 고수하고자 하였다. 제1대대는 천주산 동측으로 우회하여 서파 지역으로 빠져 철수하여 급편방어진지를 편성하고 있었다. 대대는 앞을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데도 불구하고 오후5시 지현리 - 명덕리 - 서파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북한군은 국군 진지에 포격을 집중하면서 공격을 재개하였다. 대대는 적 전차를 동반한 적의 공격을 받고 북한군을 저지하고자 했으나 열세한 전력으로는 병력의 희생만 가중될 뿐이었다. 대대장은 현지에서 철수하여 광릉으로 집결하라는 철수명령을 하달하였다. 하지만 인접한 제3대대와는 통신이 두절되어 끝내 연락을 취하지 못한 채 철수하게 되었다. 대대는 내리 서쪽 팔야리 부근를 거쳐 다음날 광릉으로 철수하였다. 이렇듯 제9연대는 포천 정면에서 북한군 제3사단 및 제105전차여단과 교전 끝에 중과부적으로 분산되어 전투력을 거의 상실하고 제1대대만이 겨우 광릉 일대로 집결하였다. |
| 참고 문헌 |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2, 2005, 362-368쪽.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1, 2001, 154-155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113-116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신팔리 |
|---|---|
| 주소 | 경기 포천시 내촌면 신팔리 서파 산50-1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6·25전쟁사』2권에 의하면, 1950년 6월 25일 국군 제9연대가 북한군 전차부대의 공격을 받고 물러나 일부부대가 송우리로, 일부부대가 서파 일대에서 방어전투를 수행하였음이 확인된다. |














서파 주변 고지
서파 전투지 - 서파 검문소 일대
서파 삼거리
청평 방면 도로 주변 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