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오류동 전투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가수호사적지
운동계열분류 초기작전
종류 산야
상태 변형 / 교량의 신축과 시가지의 변화로 당시 자취는 남아있지 않다.
정의 1950년 6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김포지구전투사령부가 경인가도를 확보하려는 북한군과 전투를 벌여 지연시켰던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50 오류동전투
관련 조직 국군 제5사단 제15연대, 국군 제18연대 
관련 인물 최영희(崔榮喜), 임충식(任忠植)
관련 내용 육군본부는 북한군 제6사단이 김포를 거처 영등포 방면으로 진출하자 이에 대한 대응책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경인가도는 인천항으로 가기 위한 주요 교통로이면서 영등포 방면에서 한강방어선을 편성하고 있는 시흥지구전투사령부의 측면 보호를 위해서도 확보되어야 할 요충지였다. 이에 시흥지구전투사령관 김홍일 소장은 소사에 집결 중인 김포지구전투사령부에 이 지역을 방어토록 했다.
1950년 6월 30일 북한군은 김포비행장에서 소사 방향의 도로를 따라 전차를 앞세우고 오류동을 목표로 진격했다. 새로 김포지구전투사령부를 맡은 임충식(任忠植) 중령은 북한군이 오류동을 거쳐 시흥을 노린 것으로 판단하고, 제18연대를 급히 오류동에 배치하여 그들의 침투로를 차단하였다. 이날 소사 - 오류동 일대에서 적의 위협을 느끼게 된 시흥사령관 김홍일 소장은 다시 행주로부터 도하한 제5사단 제15연대장 최영희(崔榮喜) 대령을 새로 김포지구전투사령관에 임명하여 소사 - 오류동의 경인가도 고수를 명령했다.
이후 김포지구전투사령부는 오류동에서 방어선을 형성하여 한강방어선을 측면 지원했으나, 7월 3일 북한군 전차의 도하결과 한강방어선이 돌파되자 김홍일 소장의 명령에 따라 철수하였다. 그 결과 북한군이 김포반도에 상륙한 뒤 일주일에 걸쳤던 김포지구작전도 오류동에서 마무리되었다.
참고 문헌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 1, 1977, 689-701쪽.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3, 2006, 157-161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구로동
주소 서울 구로구 구로1동 635-17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오류동 전투는 138고지(오류동 서북쪽 2km), 77고지(고척교 북쪽 1km) 등으로 흩어져 전개되었으나, 이러한 전투가 결국 경인가도를 확보하기 위한 교전이었으므로 고척교 일대를 특정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