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행주나루 도하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초기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아무런 자취가 남아 있지 않다. |
| 정의 | 인천상륙작전과 반격작전의 성공으로 1950년 9월 20일 미 해병 제1사단과 한국 해병대가 서울 수복작전을 위해 한강을 도하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0 서울 수복작전 |
|---|---|
| 관련 조직 | 한국군 해병대, 미 해병대 제1사단 |
| 관련 인물 | 맥아더, 스미스, 김성은 |
| 관련 내용 |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에 성공한 한·미 해병대는 서울로 진출하기 위해 김포가도로 북상하였다. 한미 해병은 곧 김포비행장을 장악하고 개화산 일대에 도착하였다. 이곳에서 미 제5해병연대는 한강을 도하하여 서울로 진격할 것을 결정하고 개화산에 도하관측소를 설치하였다. 개화산 관측소에서 한강 대안을 살펴 본 미 제5해병연대는 행주산성을 도하장소로 최종 결정하고, 19일 밤 정찰대를 보냈다. 그러나 행주산성을 지키고 있던 북한군은 이들에게 사격을 가하였다. 이에 제5해병연대는 행주산성과 나루터 사이로 도하목표를 수정하고, 20일 새벽부터 대대적인 도하작전을 실시하여 결국 성공하였다. 행주 도하작전은 서울로 진공하는데 중요한 작전이었다. 미 제5해병연대에 이어 한국해병대가 도하하였고, 이들은 행주나루를 지나 수색으로 진격하였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인천상륙작전』, 1983, 227-233쪽. 서울시사편찬위원회, 『한강의 어제와 오늘』, 2001.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김포군 양서면 개화리 |
|---|---|
| 주소 | 서울 강서구 개화동 248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인천상륙작전』등의 연구성과에 근거하여 행주대교 남쪽 나들목 부근으로 비정하였다. |














LST로 도하 중인 한·미해병대(1950년 9월 20일)
미 제5해병연대가 도하를 시작한 행주나루 대안
한강변을 향하여 행군하고 있는 미 제5해병연대
한·미해병대가 도하목표로 삼은 행주나루 터와 행주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