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전투산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낙동강방어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원형보존 / 현 여항산으로 전쟁 당시의 원형이 대부분 잘 보존되어 있다. |
| 정의 | 1950년 8월 21일에서 9월 14일까지 미 제27연대와 제24연대가 함안면 파수리 전투산에서 북한군 제6사단·제7사단과 전투를 벌인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마산부근 전투, 진동리 전투 |
|---|---|
| 관련 조직 | 미 제25사단, 북한군 제6사단 |
| 관련 인물 | 킨 소장, 방호산 소장 |
| 관련 내용 |
미 제25산은 1950년 8월 초 마산 서측 전선에 투입되어 북한군의 낙동강선 돌파기도를 저지하였다.이후 북한군 제6사단과 제7사단은 낙동강과 남강에서 미 제25사단 방어를 돌파하여 부마산진출의 교두보라고 할 수 있는 전투산·필봉·서북산을 확보하고자 했다. 1950년 9월 1일 미 제24연대는 전선으로부터 후퇴하며 함안도로를 확보하기 위해 유일한 예비대인 E중대를 투입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9월 7일 북한군이 전투산을 점령하자 사단장은 함안을 탈환한 미 제27연대에게 전투산 탈환을 명령하였다. 9월 7일 미 제27연대 제3대대가 탈환임무를 부여받고 3일간 수차례 고지로의 진출을 시도하였으나 북한군의 완강한 저항으로 실패하였다. 이에 미제24연대장 코리(Corley) 중령은 재공격을 중단하고 전투산보다 낮은 남쪽 고지에 지뢰와 철조망에 의한 장벽을 설치한 후 적의 진지에 집중화력을 가하여 북한군을 공격하였다. 이에 적의 병력이 현저히 감소되자 미군은 공세로 전환하여 마침내 전투산을 탈환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전투로 북한군의 공격력에 한계가 드러나 수세로 전환되었고, 국군과 유엔군은 총반격의 계기를 잡게 되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5, 2008, 309-311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325-332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파수리 |
|---|---|
| 주소 | 경남 함안군 함안면 파수리 여항산 일대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6·25전쟁사』5권에 의하면, 1950년 8월 21일부터 9월 14일까지 미 제27연대와 제24연대가 함안면 파수리 전투산에서 낙동강과 남강의 미 제25사단 지역을 돌파한 북한군 제6사단과 제7사단을 방어한 전투지임이 확인된다. |














전투산(여항산) 능선
전투산(여항산) 정면
전투산(여항산) 전경
전투산(여항산) 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