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클로버고지 - 오봉리 전투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가수호사적지
운동계열분류 낙동강방어작전
종류 산야
상태 원형보존 / 전쟁 당시의 원형이 대부분 보존되어 있다.
정의 1950년 8월 7일부터 8월 17일까지 미 제19연대 및 제34연대가 낙동강을 도하 클로버고지-오봉리에서 밀양-부산 진출 교두보를 확보한 북한군 제4사단을 포위 격퇴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낙동강돌출부 작전, 창녕 전투
관련 조직 미 제24사단, 북한군 제4사단 
관련 인물 처치, 이권무
관련 내용 1950년 8월 7일 오전 미 제24사단 제19연대는 낙동강을 도하한 북한군을 역습으로 격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말았였다. 북한군은 오히려 클로버 고지를 점령한 후 오봉리 능선으로 진출하였다. 이에 미 미 제24사단에 배속된 제2사단 9연대가 8월 8일 사단의 지원포격하에 제1대대가 클로버고지를, 제2대대가 오봉리 능선 탈환을 목표로 공격하였다. 그러나 제9연대는 적정이나 지형에 익숙하지 않은데다 전투경험도 없는 상황에서 급히 투입되었기 때문에 많은 병력손실만 입은 채 후퇴하였다.

8월 14일 미 제24사단장 처치 소장은 힐(Hill) 특수임무부대에게 클로버고지 일대의 적을 격퇴하도록 하였다. 힐 부대의 주공인 미 제2사단 제9연대가 클로버고지 일부에 도달하여 공격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북한군의 완강한 저항으로 쟁탈전이 수차례 반복되었다. 8월 16일 힐 부대는 다시 북한군의 대규모 공격을 받고 철수하고 말았다. 미 제8군사령관은 적을 저지하기 위해 8월 17일 미 제24사단이 미 제1해병여단과 합동작전을 개시하도록 조치하였다. 포병의 공격협조로 인해 미 제9연대가 클로버고지를 점령하였고 해병연대가 오봉리 능선상의 고지를 탈환하였다. 이 전투로 북한군 제4사단은 완전히 궤멸되어 패잔병들이 100여 명씩 무리지어 낙동강을 건너 철수하였다. 북한군 제4사단은 이 전투로 인해 인원과 장비를 회복하지 못하고 다시는 낙동강전투에 참전할 수 없게 되었다.
참고 문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5, 2008, 253-255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319-325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대봉리
주소 경남 창녕군 장마면 대봉리 일대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6·25전쟁사』5권에 의하면, 클로버고지-오봉리 전투지에서 북한군 제4사단과 미 제19연대 및 제34연대 사이에 2차에 걸친 전투가 확인된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