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영덕 남방 207 - 181고지 전투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가수호사적지
운동계열분류 지연작전
종류 산야
상태 원형보존 / 전쟁 당시의 원형이 대부분 잘 보존되어 있다.
정의 국군 제3사단 제22연대가 항공기의 지원 하에 대대적인 역습을 전개하여 탈환하고, 그후 수차례의 적의 역습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울진 전투, 포항 전투
관련 조직 국군 제3사단, 북한군 제5사단 
관련 인물 이준식, 마상철
관련 내용 국군 제3사단은 1950년 7월 26일 강구를 방어하는 데 유리한 중요 지형이자 영덕 탈환을 위한 공격의 발판이 되는 207고지 - 181고지를 확보하였다. 유승렬 장군의 후임 사단장인 이준식 준장은 27일부터 양일 간에 걸친 유엔 해·공군의 해상 및 공중 지원으로 북한군의 전력이 크게 약화되자 영덕 탈환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양측은 이후 220고지 - 180고지를 놓고 격렬한 공방전을 전개하였다. 제3사단은 8월 5일 밤 적의 공격을 받고 진내전까지 전개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지휘계통이 마비되어 전세는 이미 기울어 방어선 일각이 붕괴되었다.
제3사단장은 207고지 - 181고지를 탈환하기 위해 비교적 손실이 적은 제22연대를 투입했다. 연대는 유엔 해군과 공군의 지원 아래 반격을 개시했으나 치열한 근접전으로 병력 손실만 증가될 뿐 목표탈환에 실패하였다. 이어 야간공격으로 전환한 제22연대장은 19시 30분 미 제40전투비행대대 전폭기편대의 공중공격 직후 공격을 감행해 마침내 목표를 점령하였고, 이어진 적의 수차례에 걸친 역습을 격퇴시켰다. 이날의 전투는 특히 181고지 공방전이 치열해 쌍방 모두 많은 병력손실이 있었다.

제22연대가 207고지 - 181고지 선을 다시 확보하자, 제3사단장은 재편성을 완료한 제23연대를 지곡동 - 151고지에 배치해 적의 측방공격에 대비하였다. 제3사단은 오십천을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 연대씩을 배치하였으나 여전히 사단 방어 중점은 207고지 - 181고지에 있었다.
참고 문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4, 2008, 402-403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1995, 271-275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우곡리
주소 경북 영덕군 영덕읍 우곡리 산59번지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6·25전쟁사』5권에 의하면, 국군 제3사단이 1950년 7월 16일부터 8월 6일까지 영덕 북방의 영해 207-181고지 일대에서 북한군 제5사단의 공격을 방어하여 격렬한 전투를 수행하였음이 확인된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