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자유의 다리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
| 종류 | 기타(교량) |
| 상태 | 원형보존 / 자유의 다리는 전쟁 당시 원형 그대로 잘 보존되어 있는 편이다. 다만, 목조물로 되어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식되고 있다. |
| 정의 | 공산군과 유엔군의 정전협정의 포로교환 협정에 따라 국군과 유엔군 포로들을 귀환시키기 위해 임시교량으로 가설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3 포로교환, 리틀스위치, 빅스위치, 휴전협정 |
|---|---|
| 관련 조직 | 포로관리위원회 |
| 관련 인물 | |
| 관련 내용 |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의 성립으로 유엔군과 공산군측 전선에서는 일제히 총성이 멎었다. 그리고 포로교환 협정에 따라 유엔군과 북한군 양측은 포로송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포로송환위원회를 구성하고, 송환에 관한 사항을 준비하였다. 먼저 유엔군측은 사전에 포로송환 때 양측포로의 귀환을 위해 자유의 다리를 임시로 가설하였다. 휴전 조인 후 1953년 8월 5일 오전 9시 판문점에서는 전 세계가 지켜보는 가운데 예정대로 포로교환의 막이 올랐다. 유엔군측에서는 국군 및 유엔군 수뇌들과 많은 장병들이 이곳에 나와 있었고, 아군 포로들이 자유의 다리를 통해 귀환하기 시작하였다. 천막으로 가설된 임시 포로 인수기지에는 군악대와 이동외과병원 의료팀들이 송환되는 포로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후 여러 가지 사건에도 불구하고 포로송환은 계획대로 실시되었다. 그러나 국군과 유엔군측은 송환 희망포로들을 모두 송환한 반면, 공산군측은 국군 포로 중 많은 포로들을 송환하지 않고 억류시켰으며, 또한 귀환 포로 중 장교는 거의 없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하, 신오성, 1997, 609-611쪽.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11, 2013, 인쇄창, 728-734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파주군 임진면 마정리 |
|---|---|
| 주소 | 경기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1325-1 |
| 도로명 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77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하권에 의하면, 1953년 8월 5일 판문점에서 포로교환이 시작되었으며 국군과 유엔군 포로들이 임진철교 남쪽 하단부분에 사전에 세워진 자유의 다리를 통해 귀환하였음이 확인된다. |














자유의 다리 입구에 설치된 기념표지
자유의 다리(아래)와 임진철교
임진각 방향으로 본 자유의 다리
자유의 다리 남쪽 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