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지평리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재반격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지평리 전투지는 도로 공사 등으로 인하여 당시의 원형이 완전히 병형되었다. 전투지 부근에‘지평리전투 UN군 참전충혼비’가 세워져 있다. |
| 정의 | 중공군 2월 공세시 미 제23연대와 프랑스 대대가 1951년 2월 11일 중공군 제39군 3개 사단의 포위공격을 받고 방어전투를 수행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1 중공군 공세 |
|---|---|
| 관련 조직 | 프랑스대대 |
| 관련 인물 | 몽클레어 장군 |
| 관련 내용 |
프랑스 대대는 미 제2사단 23연대에 배속되어 쌍터널 전투를 마치고, 1951년 2월 3일 지평리로 이동한 후 지평리를 중심으로 편성된 전면 방어진지의 서측을 방어하였다. 2월 11일 중공군의 2월 공세가 시작되면서 미 23연대가 방어하던 지평리 주변의 좌우측 인접부대가 공세에 밀려 철수하였다. 그러자 미 23연대와 프랑스 대대는 중공군에게 일시에 포위되고 말았다.그러나 지점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진지고수 명령을 받게 된 프랑스 대대는 끝내 철수하지 않았다. 지평리에서 3일 간에 걸친 중공군의 강력한 공격을 물리친 프랑스 대대는 결국 진지를 사수하였다. 중공군은 2월 15일 후방으로부터 미군 증원부대가 지평리에 도착하여 프랑스 대대를 지원하자 16일 아침 급히 퇴각하였다. 미 제23연대와 프랑스 대대는 이 전투에서 중공군 3개사단에 대하여 치명적인 손실을 가하였으며, 이 전투로 지평리 - 여주 방향으로 진출하여 유엔군 전선을 양분하려했던 중공군의 기도를 좌절시킬 수 있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중, 1997, 406-408쪽. 국가보훈처,『 6·25 프랑스군 참전사』, 2004, 106-111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지평리 |
|---|---|
| 주소 | 경기 양평군 지평면 지평리 382-1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중에 의하면, 프랑스 대대가 1951년 2월 11일 지평리에서 중공군의 공격을 받고 많은 희생을 치루면서 방어전투를 수행하였으며, 대대는 중공군의 포위망을 돌파하여 철수하였음이 확인된다. |














몽클라르 대대장의 작전 지시
지평리 일대 고지들
지평리 고지의 기관총 진지
지평리전투 UN(프랑스군)참전충혼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