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백용성 생가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3·1운동
종류 가옥
상태 복원 / 애초의 생가 모습과는 다른 형태로 복원되었다.
정의 민족대표 33인 중 불교계 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여한 백용성이 태어난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1919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
관련 조직  
관련 인물 한용운
관련 내용 백용성(白龍城 ; 白相奎, 1864~1940)의 본관은 수원이며, 전북 장수군 번암면 죽림리에서 출생하였다. 속명은 백상규(白相奎)이며, 법명은 진종(辰鍾), 법호는 용성(龍城)이다.

1911년 서울에서 대각사(大覺寺)를 창건하고 대각교를 창시하였다. 1919년 3·1운동 당시에는 민족대표 33인 중 한용운(韓龍雲)과 함께 불교계 대표로 참가하여 구국운동에 헌신하였다. 그 결과 일본경찰에 붙잡혀 옥고를 치른 뒤 1921년 3월에 출옥하였으나 늘 일본경찰의 감시를 받았다. 출옥 후 불교종단의 정화를 위하여 힘쓰고 대처승의 법통계승을 인정하는 일본의 종교정책에 맹렬히 반대하였다. 또한 학승(學僧)으로서 불교경전 정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불교발전에 이바지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1985년 백용성조사기념사업회가 백용성의 생가 터와 주변 토지를 매입하였고, 그 뒤 국비 및 지방비와 후원금 등을 모아 생가를 복원하고 여러 건물을 세워 성역화작업을 시행하였다.
참고 문헌 「백용성 공적조서」,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신한민보』, 1919년 9월 27일, 「손성사 이하 46현의 예심 결정」.
「손병희 등 48인 판결문」, 1920년 8월 9일,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운동사』2-삼일운동사(상), 1971, 71-76쪽.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운동사』3-삼일운동사(하), 1971, 492쪽.
「(고등법원 예심조서)백상규 심문조서」;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12, 1990, 90~92쪽.
김광식 등, 『종교계의 민족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8, 167-169·188-190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죽림리
주소 전북 장수군 번암면 죽림리 252
도로명 주소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죽림2길 31
위치 고증 「(고등법원 예심조서)백상규 신문조서」에 출생지가 기록되어 있으며,「손병희 등 48인 판결문」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백용성조사기념사업회에 보관 중인 각종 자료와 백용성유훈실현후원회의 고증을 통해 생가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