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반야봉지구 빨치산 토벌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후방지원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원형보존 / 반야봉지구 산야는 당시와 큰변화가 없고 지리산 충혼탑, 지구전적비, 빨치산전시관 등이 조성되어 있다. |
| 정의 | 1951년 12월 초 백야전 전투사령부가 2주 동안 지리산에 국군에 저항하던 북한 빨치산들을 공격하여 토벌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지리산지구전투 |
|---|---|
| 관련 조직 | 백야전 전투사령부, 북한 빨치산 |
| 관련 인물 | 백선엽, 이현상, 방준표 |
| 관련 내용 |
1952년 3월 백야전 전투사령부는 빨치산들의 지리산 근거지를 분쇄하기 위해 4차례 토벌전을 전개하여 빨치산들에게 커다란 타격을 입혔다. 작전 명칭은‘쥐잡기 작전(Operation Rat Killer)으로 3월 15일까지 4개월에 걸쳐 토벌작전이 진행되었다. 이 작전의 중요성은 미 제8군사령관 밴플리트 장군을 비롯하여 이승만 대통령이 현지를 방문하여 격려했던 점에서도 드러난다. 특히 제1기 작전은 지리산 속에 갇힌 빨치산들을 토끼몰이식으로 포위, 압박함으로써 지리산 근거지를 분쇄하는 것이었다. 백선엽 사령관은 수도사단과 제8사단 등 2개 사단을‘타격부대’, 작전지역 외곽의 통로와 도주로를 차단하는 경비연대와 경찰부대를‘저지부대’로 구분하여 3만 여 명의 병력이 지리산을 포위했다. 이러한 군경 합동 작전으로 1기 작전이 끝난 후 사살 1,715명, 생포 1,710명, 귀순 132명 등 커다란 전과를 세웠다. 백선엽 사령관은 2주간에 걸친 토벌작전으로 난공불락을 자랑하던 빨치산들의 근거지를 파괴하면서 모두 토벌했다고 평가했다. |
| 참고 문헌 |
백선엽,『 군과 나』, 대륙연구소, 224-229쪽. 정석균,『 대비정규전사』,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8, 192-200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전라북도 남원군 산내면 부운리 |
|---|---|
| 주소 | 전북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 산 93-4 일대 |
| 도로명 주소 |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와운길 10 일대 |
| 위치 고증 | 『군과 나』에 의하면, 백야전 전투사령부가 빨치산들의 지리산 근거지를 분쇄하기 위해 3차례 토벌전을 전개하여 그들에게 커다란 타격을 입혔다. |














백선엽 장군 공적비
백야전전투사령부의 지리산 토벌 전적비(지리산 충혼탑)
빨치산의 근거지였던 지리산 뱀사골 계곡
반야봉 일대 고지
지리산 뱀사골 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