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이관직 집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국내독립운동
종류 가옥
상태 변형 / 이관직이 거주했던 곳으로 구조는 변동이 없으며 지붕만 개량된 상태이다.
정의 신민회·경학사·신흥무관학교 등에서 활동한 이관직이 살았던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관련 조직 협동학교/신민회/경학사/신흥강습소 
관련 인물 유인식(柳寅植)/김동삼(金東三)/이회영(李會榮)/이동녕(李東寧)/(李光)/윤기섭(尹琦燮)/김창환(金昌煥)
관련 내용 이관직(李觀稙, 1883~1972)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연성학교에서 근무하였다. 그는 1907년 유인식·김동삼 등과 함께 경북 안동에서 협동학교(協東學校)를 설립하여 서구문명을 받아들이면서 개화된 구국교육으로 후진양성에 주력하였다.

그는 1910년 9월 신민회 회원으로 해외의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적합한 후보지역을 물색하기 위해 이회영·이동녕 등과 함께 만주지역을 시찰하고 독립운동기지 선정활동을 전개했다. 그는 신민회가 경학사를 조직하고 신흥강습소를 설립하자 이동녕·이광·윤기섭·김창환 등과 함께 군사교관이 되어 사관생도들의 훈련을 담당하였다. 그는 경학사의 운영자금을 위해 국내로 잠입해 자금을 모집했으며, 3·1운동이 일어나자 배재학당의 학생동원 책임자로 활동을 전개하던 중 피체되어 옥고를 치렀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 문헌 「이관직 공적조사」, 국가보훈처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8, 1976, 360·361쪽.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10, 1978, 325쪽.
김희곤,『안동사람들의 항일투쟁』, 지식산업사, 2007, 184~187쪽.
서중석,『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 역사비평사, 2001, 26·31~32·36·91~97·105·118~119·124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충청남도 공주군 정안면 사현리 220
주소 충남 공주시 정안면 사현리 220-1
도로명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되재1길 62
위치 고증 「이관직 공적조서」에 의하면 본적이 공주군 정안면 사현리 220번지로 기록되어 있다. 현재 사현리에 거주하고 있는 후손인 이원규의 증언에 의하면 1972년 사망시까지 거주했다고 한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