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삼척청년동맹 창립대회지-삼척 죽서루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사회운동
종류 건물
상태 원형보존 / 삼척 죽서루는 보물 제213호(1963.01.21.)로 지정되어 관리 보존되고 있으며, 주변 일대는 삼척도호부 관아유적 복원사업이 진행중으로 2024년 완료 예정이다.
정의 1927년 10월 25일 삼척군 사회단체가 연합하여 삼척청년동맹 결성을 위한 창립대회 및 삼척청년동맹 정기대회가 열린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관련 조직  
관련 인물 鄭健和, 金元壽, 沈富潤, 金斗明, 吳元模, 沈斗星, 李逸淳, 金春逢, 禹在奭, 崔達植
관련 내용 삼척청년동맹은 1926년 정우회의 방향전환론과 이에 영향을 받은 강원청년연맹혁신대회의 결과 삼척청년회가 발전적으로 전환하여 조직되었다. 1927년 10월 25일 삼척청년동맹 조직을 전제로 한 전삼천사회단체연합간친회가 죽서루에서 개최되었다. 간친회에서는 삼척청년동맹창립대회를 열기로 결의하고, 같은 날 오후에 창립대회를 개최하였다.
임원은 집행위원장 鄭健和, 집행위원 金元壽ㆍ沈富潤ㆍ金斗明ㆍ吳元模ㆍ沈斗星, 검사위원장 李逸淳, 검사위원 金春逢ㆍ禹在奭ㆍ崔達植으로 구성되었다. 창립직후 군에 본부를 두고 각 면에 지부를 설치하였는데, 북평면ㆍ북삼면ㆍ삼척면ㆍ근덕면에 지부가 조직되었다. 삼척청년동맹은 농민운동, 여성운동, 소년운동, 형평운동 등 삼척 지역의 사회운동을 주도해나갔다.
삼척청년동맹은 1931년 5월 18일 죽서루에서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만장일치로 해소를 결의하였다. 삼척청년동맹 해소 이후 삼척지역의 삼척청년동맹을 주도하였던 정건화, 심부윤 등은 K회, 삼척적색노농조합공작위원회 등을 조직하여 삼척지역의 청년운동을 이끌어나갔다.
참고 문헌 「全三陟社會團體 聯合懇親會 開催」, 『朝鮮日報』, 1927.11.10.
「三陟靑年同盟 盛況裡에 創立大會」, 『朝鮮日報』, 1927.11.10.
「三一靑年會 臨時總會」, 『朝鮮日報』, 1927.11.23.
「三陟靑年同盟 北坪支部 創立準備」, 『朝鮮日報』, 1927.11.23.
「三陟靑年同盟 北三面支部 創立大會」, 『朝鮮日報』, 1927.12.06.
「三陟靑盟 臨時大會」, 『朝鮮日報』, 1928.02.08.
「三陟靑盟 三陟支部 設立大會」, 『朝鮮日報』, 1928.02.27.
「三陟靑年同盟 近德支部 設立」, 『朝鮮日報』, 1928.04.22.
「三陟靑盟定總」, 『朝鮮日報』, 1931.05.30.
조성운, 「日帝下 江原道 三陟地域의 革命的 勞農運動」, 『한국민족운동사연구』15, 1997.
조성운, 「日帝下 嶺東地方 農民運動 硏究」, 동국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8, 75~83쪽.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강원도 삼척군
주소 강원도 삼척시 죽서루길 37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조선일보 1927년 11월 10일자 기사 「삼척청년동맹 성황리에 창립대회」를 통해 죽서루에서 삼척청년동맹 창립대회가 개최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현재 죽서루는 그 자리에 있어 위치를 확인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