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초당의숙 터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애국계몽운동
종류 건물
상태 멸실 / 초당의숙 터에는 강릉고등학교가 자리하고 있으며, ‘영어학교 터’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정의 1906년 설립되어 여운형 등이 민족교육을 실시했던 초당의숙이 있던 곳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관련 조직  
관련 인물 최태집, 최용집, 여운형
관련 내용 초당의숙은 1906년 최용집, 최태집이 주도하여 설립한 민족학교였다. 교과목은 국어, 한문, 일어, 지리, 역사, 산수, 영어, 체육이었다. 특히 영어 교육에 집중하여 영어학교라 불리기도 하였다.
강릉지역에 설립된 동진학교, 화산학교와 연합운동회를 개최하여 학생간의 우의를 도모하는 한편, 연합토론회를 개최하여 항일정신 고취시켰다.
초당의숙은 1908년 일제의 「사립학교령」 발포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때 강릉지역의 청년교육을 활성화시키고자 했던 남궁억의 요청으로 1910년 봄 여운형이 초당의숙의 교사로 초빙되었다. 여운형은 자신의 사촌동생 여운일과 함께 동진학교에 출강하기도 하였다.
초당의숙은 1910년 8월 강제병합 이후 일제의 사립학교 탄압으로 1911년 여름 폐교되었다.
참고 문헌 草塾經試, 大韓每日申報, 1909년 6월 18일
春川憲兵隊本部, 『江原道狀況梗槪』, 1913
피정만, 『강원교육사』, 하우, 2003
장경호, 「1905~1910년 전후 강원 영동지역 사립학교 설립 현황과 졸업생들의 행보」, 『한국교육사학』제43권 1호, 2021
이종철, 日帝時代 江陵地方 抗日運動 硏究, 영동문화5, 관동대학교 영동문화연구소, 1994
신천식, 「강원도 지방의 향토교육」, 『임영문화』9, 1985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강원도 강릉군
주소 강원도 강릉시 강릉대로587번길 68 강릉고등학교 내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대한매일신보, 「草塾經試」(1909.6.18.) 기사를 통해 초당의숙 설립 사실을 확인하였다. 현재 ‘영어학교 터’ 표지석이 세워져 있는 강릉고등학교로 위치를 비정하였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