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영역

  • 지역별
  • 운동별

사적지 찾아보기

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수원삼일여학교 터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국내항일운동사적지
운동계열분류 애국계몽운동
종류 건물
상태 매향중학교와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의 교사로 사용되며 멸실되었다.
정의 1902년 개교하여 수원근대 여성교육기관으로 민족대표 48인 김세환이 재직하였고 구국민단의 주역이 다니던 학교

관련정보

관련정보
관련 사건
관련 조직  
관련 인물 김세환, 나혜석, 나지매, 박충애, 차인재, 홍보배, 김몌례
관련 내용 1902년 수원교회(수원종로교회)에서 시작하여 1908년 사립 삼일여학교로 인가를 받았다. 1906년 2월 북문근처에 있던 교회가 종로로 이사할 때 남자학교는 교회를 따라 옮긴 반면, 여자학당은 장안동 새 부지로 독립하였다.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48인의 일원이며 수원지역 만세운동을 이끌었던 김세환이 교사로 재직하였고, 1920년대 결사단체인 구국민단의 주역 차인재·임순남·최문순 등이 다닌 학교이다.
참고 문헌 한동민, 『수원을 걷는다』, 수원시·수원문화재단, 2021, 36~37쪽.
수원시사편찬위원회, 『수원시사』10권, 수원시사편찬위원회, 2014, 213~216쪽.
「삼일여학교 교사 김온순 최문순 이재순 삼시의 교육열」, 『동아일보』, 1924년 4월 27일, 3면.
매향중학교 홈페이지(http://maehyang-m.goesw.kr/)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지역정보
당시 주소 경기도 수원군 수원면 북수리 110-2
주소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수원천로 350(매향동 110-2)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도로명 주소
위치 고증 매향학원 연혁과 수원시사(2014)에 따르면 현재 매향중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가 위치한 곳이 삼일여학교가 있던 곳이다.

하단영역

관련사이트

주소: 31232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독립기념관로1  전화: 041-560-0405 팩스 : 041-560-0426 
 Copyright 2021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