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목동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재반격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주변 도로와 건물 건축공사로 인해 당시의 원형이 완전히 변형되었다. |
| 정의 | 1951년 4월 23일 중공군의 춘계공세시 호주군 제3대대가 영국연방 제27여단에 배속되어 중공군의 공격을 저지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1 중공군 춘계공세 |
|---|---|
| 관련 조직 | 호주여단 제3대대 |
| 관련 인물 | |
| 관련 내용 |
1951년 4월 23일 중공군 제1차 춘계공세시 중공군 제20군 예하부대가 사창리 지역의 국군 제6사단 방어선을 돌파하여 가평 방면으로 진출하였다. 이에 영 연방 제27여단은 여단에 배속된 호주 대대를 목동리 고지에 배치하여 중공군의 침공을 저지토록 하였다. 호주군 제3대대는 이 곳에서 3일 동안 방어전을 펼쳐 결국 중공군의 침공을 저지하는데 성공하였다. 또한 국군 제6사단의 철수를 엄호하고 경춘 간의 주보급로를 확보하는데도 공헌하였다. 대대는 중공군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았으나 끝까지 고지를 사수함으로써 중공군의 춘계공세를 가평 북쪽에서 저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 전투로 중공 제20군은 제1차 춘계공세 시에 가평 지역 남쪽의 북한강을 넘어서지 못하게 되었으며, 국군과 유엔군은 노네임선(Noname Line, 수색 - 구파발 - 금곡 - 청평 - 현리 - 양양)에 새로운 방어진지를 구축하여 반격 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를 확보하게 되었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10, 1979, 73-75쪽.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8, 2011, 478-480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가평군 북면 목동리 |
|---|---|
| 주소 | 경기 가평군 북면 목동리 691-1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사』10권에 의하면, 호주군 제3대대가 영 연방 제27여단에 배속되어 1951년 4월 중공군 춘계공세시 가평 목동리 504고지 일대에 저지진지를 편성하여 중공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저지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손실을 입었음이 확인된다. |














목동 전면의 고지들
목동 전투지에 세워진 호주군 참전기념비
전투가 이뤄졌던 목동 가평천 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