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마차산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재반격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주변 도로와 건물 신축공사로 인해 당시의 원형이 완전히 변형되었다. |
| 정의 | 벨기에와 룩셈부르크 혼성대대가 1951년 3월 6일 미 제3사단에 배속되어 반격작전을 수행한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1 유엔군 반격작전 |
|---|---|
| 관련 조직 | 벨기에-룩셈브르크 대대, 유엔군 |
| 관련 인물 | |
| 관련 내용 |
6·25전쟁 당시 벨기에와 룩셈부르크는 유엔군의 일원으로 한국을 지원하여 지상군 병력을 파병하였다. 베네룩스 삼국에 속하는 두 국가는 1950년 7월 22일에 양국군이 통합된 1개 보병대대를 파병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벨기에는 8월 25일부터 지원병을 모집하여 1개 대대를, 룩셈부르크는 1개 소대를 각각 편성하여 10월 1일 벨기에 대대 A중대에 편입시켜 벨기에-룩셈부르크 대대를 구성하였다. 이 대대는 1951년 1월 31일 부산에 도착하였다. 이 대대는 1951년 2월 11일부터 대구에서 전투준비를 거친 후 3월 6일 미 제3사단에 배속되었고, 동두천 마차산 전투에 처음으로 투입되어 전방작전에 참가하였다. 대대는 마차산 일대의 적을 격퇴한 후 반격작전에 참가하여 38선까지 진출하였으며, 동두천 지역을 탈환한 후 다시 전곡지역으로 북진하였다. 그 후 대대는 동두천 서쪽 5km 지점인 봉암리에 투입되어 영 연방 제29여단의 철수를 지원한 다음 후위부대로서 의정부쪽으로 철수하였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한국전쟁사』10, 1979, 161-162쪽. 국가보훈처,『벨기에·룩셈브르크군 6·25전쟁 참전사』, 2011, 68-139쪽.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경기도 양주군 이담면 상봉암리 |
|---|---|
| 주소 | 경기 동두천시 상봉암동 130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한국전쟁사』10권에 의하면, 벨기에·룩셈부르크 통합 대대를 편성한 후 1951년 1월 31일 부산에 도착하였고, 3월 6일 미 제3사단에 배속된 후 동두천 마차산으로 진출하였음이 확인된다. |














벨기에 - 룩셈부르크 참전기념비
경원선 변에서 본 마차산
벨기에 - 룩셈부르크 참전기념비 주변
마차산 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