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남산 전투지
기본정보
| 사적지 분류 | 국가수호사적지 |
|---|---|
| 운동계열분류 | 반격북진작전 |
| 종류 | 산야 |
| 상태 | 변형 / 능선은 남아있으나 당시 전투지의 자취는 남아 있지 않다. |
| 정의 | 1950년 9월 26일 서울수복을 위해 한강을 도하한 미 육군 제7사단 제32연대 제2대대가 남산일대에서 북한군과 격전을 치룬 곳 |
관련정보
| 관련 사건 | 1950 서울 수복 전투, 남산 전투 |
|---|---|
| 관련 조직 | 미 제7사단 제32연대, 국군 제17연대 |
| 관련 인물 | |
| 관련 내용 | 1950년 9월 서울수복 전투 당시 미 제10군단장 알몬드(Edward M. Almond) 소장은 서울 서북쪽 연희동 일대에서 미 해병대가 고전하자 동월 25일 미 보병 제7사단 예하 32연대와 한국 육군 제17연대를 서빙고 쪽으로 도하시켰다. 그는 미 제32연대와 국군 제17연대를 그 동남쪽 매봉 및 뚝섬의 348고지를 점령한 후 동북쪽으로 전진시켜 경춘가도를 차단하려고 했다. 9월 25일 새벽 한강을 도하한 미 보병 제 32연대는 서빙고에 다다른 즉시 진격하여 이날 오후 4시경 남산 정상 - 매봉을 잇는 전선을 확보했다. 그러나 30분 후 쯤 약 1,000명의 북한군이 미 제2대대의 진지에 역습을 가해왔다. 이에 따라 장충단 쪽으로부터 적의 접근이 용이하고 봉우리도 훨씬 낮은 동쪽고지에 배치되어 있던 F중대가 공격당하여 많은 피해를 입였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미 제7사단은 2시간 이상의 격전 끝에 진지를 회복했으며, 북한군 394명을 사살하고 174명을 포로로 하는 전과를 세웠다. |
| 참고 문헌 |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인천상륙작전』, 1983, 302쪽.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상), 신오성, 1995, 430-431쪽. 군사편찬연구소, 『 6.25전쟁사』제6권, 용산인쇄, 2009, 183-184. |
*좌표를 클릭하시면 '길찾기'로 연결됩니다.
지역정보
| 당시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
|---|---|
| 주소 | 서울 용산구 용산동 2가 산 1-3 |
| 도로명 주소 | |
| 위치 고증 | 『인천상륙작전』에 따르면, 남산 일대에서 미 육군 제7사단 제32연대 2대대가 북한군과 교전하였다. |














서울수복작전 당시 남산 일부분을 되찾은 국군 제17연대 2대대
미 32연대가 밀고 올라온 남산 능선(한남동 방향)
명동 방향으로 본 남산 전투지
송신탑 방향으로 본 남산 전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