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별 · 작전별 사적지 현황
행주리 3·1운동 만세시위지
기본정보
사적지 분류 | 국내항일운동사적지 |
---|---|
운동계열분류 | 3·1운동 |
종류 | 기타 |
상태 | 변형 / 나루터의 기능은 상실했고, 일부 어민만 출입하는 실정이다. 나루터 위치는 큰 변화는 없으며, 현재 이용되는 어선 선착장도 옛 나루터의 일부에 속한다. |
정의 | 1919년 3월 11일, 24일, 28일 지도면 행주외리와 행주내리 주민들이 만세시위를 벌인 곳 |
관련정보
관련 사건 | 1919 행주리 3·1운동 |
---|---|
관련 조직 | |
관련 인물 | |
관련 내용 |
1919년 3월 11일 고양군 신도면·벽제면·지도면 일대에서 수백 명의 군중들이 만세를 불렀다. 같은날 지도면 행주외리와 행주내리에서도 만세시위가 일어났다. 이날 밤에 등불을 신호로 야간시위를 강행한 지도면 행주내리와 행주외리 주민들은 일제 경찰이 뒤쫓아오자 강에 배를 띄우고 선상에서까지 만세를 불렀다. 또한 행주산성에서도 만세를 불렀는데, 이때 주민들은 “옛날 임진년에 이곳에서 왜놈들이 망했다고 하거니와(행주대첩 지칭) 만일 쫓아오면 네 놈들도 그와 똑같이 망하리라.”고 외쳤다. 3월 24일과 28일에도 시위가 벌어졌다. 24일에는 800여 명의 군중이 만세시위를 벌였고, 3월 28일에도 약 500명의 군중이 시위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일제가 헌병을 출동시켜 시위주동자 38명을 체포하고 해산시켰다. |
참고 문헌 |
이병헌, 『삼일운동비사』, 시사시보사출판국, 1959, 874쪽.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2, 1972, 117쪽. 국회도서관, 「독립운동에 관한 건(제32보)」, 1919년 3월 31일 『한국민족운동사료』 3·1운동편 3, 1979, 142쪽. 경기도사편찬위원회, 『경기도항일독립운동사』, 1995, 411쪽. 고양시사편찬위원회, 『고양시사』 7, 2005, 324쪽. 경기도사편찬위원회, 『경기도사』 7, 2006, 159쪽. 경기도사편찬위원회, 『경기도 항일독립운동 문화유산 실태 조사 보고서』 1, 2017, 937~941쪽. 『고양신문』, 「고양의 청소년·시민들이 재현한 100년 전 행주나루터 만세 외침」, 2019.4.2 |
지역정보
당시 주소 | 경기도 고양군 지도면 행주외리 |
---|---|
주소 | 경기 고양시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주산성로 155 |
도로명 주소 | |
위치 고증 | 『삼일운동비사』및 「독립운동에 관한 건(제32보)」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행주리 주민들이 1919년 3월 11일 선상에서 만세시위를 벌이기 위해 배를 띠운 곳은 행주나루터로 추정되며, 옛 나루터에는 1978년에 경기도가 설치한 표지석이 남아 있어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1918년 조선총독부 가 발행한 1:50,000 「고양지도」에도 표지석이 설치된 곳과 유사한 위치에 나루터가 표시되어 있다. 2019년 7월 3일 고양 조사 시 나루터의 상황과 표지석을 확인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