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배움터 검색
-
죽미령 전투지(미군, 한국에서 북한군과 첫 전투를 치르다)
-
자유의 다리(포로들이 다리를 건너 자유를 찾다)
-
연천역 북한군 전차 하역대(북한군의 남침 사실을 증명하다)
-
옛 국방부 정훈국 터(전쟁 승리를 위한 다양한 홍보 활동을 펼치다)
-
백학학원(白鶴學院 ; 밀양 지역에 민족 교육의 씨를 뿌린 곳)
-
김창숙 생가(혁신유림계 독립운동의 선구자)
-
임청각 - 이상룡 생가(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
이만도 집 - 향산고택(국권피탈에 단식으로 항거한 순국 의사)
-
정환직·정용기 집터 - 충효재(산남의진의 父子 의병장)
-
문태수 집터(일본군을 벌벌 떨게 한 덕유산 호랑이)
-
윤세주 생가 터(의열단, 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의 한 주역의 탄생지)
-
밀양장터 3․1운동 만세시위지(영남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3․1운동 만세시위)
-
부산학생의거지 - 부산공설운동장(부산항일학생운동의 출발지)
-
김법린 집(동서양을 넘나든 만당 창립의 주역)
-
노응규 집터(진주성을 점령한 유생 의병장)
-
전해산 집터(죽어서도 일본의 패망을 지켜보겠다던 청년 의병장)
-
태인의병 창의지 - 무성서원(위정척사론자 면암 최익현, 최고령 의병장이 되다)
-
기삼연의병 주둔지 - 문수사(백마장군 기삼연, 호남의병의 선봉이 되다)
-
호남의병창의동맹단 결성지 - 마이산 용암(이석용, 죽음의 순간까지 항일투쟁의 뜻을 꺾지 않다)
-
호양학교(壺陽學校)(민족의 부강과 국권회복을 위한 황현의 선택)
-
고광순 의병장 순국지 - 연곡사(호남 의병의 선봉장, 피아골의 붉은 단풍으로 지다)
-
금릉학교(金陵學校) 터(시인 김영랑을 배출한 근대학교)
-
호남의병 전투지 - 어등산(장렬한 최후를 맞이한 호남 의병들의 본거지)
-
안규홍 집(천대받던 담살이[머슴]에서 나라를 구한 의병장으로)